BPA, 사드 배치관련 비상대책단 구성·운영

2017-03-17 16:23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정하균 기자 = 부산항만공사(BPA)는 정부의 사드 배치와 관련, 이달부터 사드 비상대책단을 구성·운영한다고 17일 밝혔다.

공사는 부산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마련해 나가기로 했다.

사드관련 비상대책반은 이정현 운영담당부사장을 단장으로 총괄반, 국제여객 대책반, 국제물류 대책반, 항만산업 지원반과 중국대표부로 구성됐다.

내·외부 자문과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 정기적인 상황점검에 들어갔다.

한편 올해 부산항에 224항차 56만명이 찾을 것으로 예상했던 크루즈선이 최대 113항차, 35만명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부산항의 직접적인 피해액은 25억원(항만시설사용료, 터미널이용료 등), 부산지역 직접피해액은 2415억원(크루즈 1인당 평균 소비액 69만원 고려 시), 크루즈 여객 1인당 부가가치까지 산정 시 직·간접 피해액 규모는 6562억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에 국제여객 대책반에선 중국인 관광객 위주에서 벗어나 국적 다변화 및 신규 크루즈 노선 개설 등 다양한 대응책을 강구 중에 있다.

또한 국제물류대책반에선 현재까지 한중 간 기항 선박 및 화물에 대한 직접적인 제재는 나타나지 않고 있으나, 중국의 경제보복으로 인해 올해 부산항 물동량 목표치인 2000만TEU 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우려돼 물동량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국내외 해운·항만동향 분석 및 마케팅 등 종합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크루즈 선박 입항 취소 및 물동량 감소에 따른 선용품 업계, 급유업, 항만관련산업, 여행 대리점 등 관련산업에도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돼 항만산업지원반에선 업계 애로사항을 파악,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아울러 중국 현지에선 상해대표부를 중심으로 선사, 상해한국국제물류협회 등 중국 현지에서 사드 대응 TF를 구성, 주요 해운 물류동향 파악 및 한국 기업 피해상황도 실시간 파악하고 있다고 공사는 설명했다.

우예종 사장은 "중국 정부의 사드관련 경제 제재가 있는 기간 동안 사드관련 비상대책단을 운영, 부산항 및 유관업계의 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