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 전 부회장은 허창수 회장과의 동반사임을 거부하고, 현직을 유지하려고 했으며, 청와대를 통해 비례대표 국회의원 공천까지 요청하는 등 모든 요로를 통해 자기 안위에 매달린 것으로 드러났다.
16일 전경련과 법조계에 따르면, 이 전 부회장은 지난달 24일 상근부회장직에서 물러난 이후 전경련에 상근고문 자리와 격려금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경련은 지난 2013년 물러난 정병철 준 부회장에게 상근부회장 출신에게 상근고문의 예우를 해준 전례가 한 차례 있었다. 정 부회장은 2013, 2014년 2년 동안 상근고문을 지냈다.
또 상근임원 중 재임 기간 특별한 공로를 올렸을 경우 퇴직금의 50% 한도 내에서 격려금(퇴직가산금)을 지급받는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전경련은 “이 전 부회장에 대한 상근고문 예우와 격려금(퇴직가산금) 지급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최순실 사태와 관련한 이 전 부회장의 향후 변호사 비용에 대해서도 지원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전경련이 이 전 부회장의 미르·K스포츠 재단 기업 출연 문제 관련 재판을 위해 개인적으로 고용한 변호사 비용을 지급했다는 논란에 대해서는 “재판을 받는 다른 직원들도 있었기 때문에 올해 3월까지 변호사 자문을 받기로 했던 비용을 지급했던 것”이라면서 “이 전 부회장이 개인 고용한 변호사 비용을 선지급했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한편, 이 전 부회장은 지난해 말 허 회장이 회원사에 사과하고 사퇴 의사를 밝혔을 때도 사퇴를 거부했던 것으로 알려지는 등 퇴임 전후로 벌인 부적절한 처사가 속속 불거지면서 비난이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특히, 이 부회장은 미르·K스포츠 재단 모금에 주도적으로 앞장서던 시기에 안종범 전 청와대 경제수석에게 비례대표 자리를 요구했던 사실이 재판 과정에서 드러나기도 했다.
안 전 수석은 지난달 22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16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나와 “이승철이 (출연금을) ‘모으다 보니 호응도가 있다'는 말과 함께 (미르재단 출연금) 증액을 먼저 제안해 대통령에게 보고드렸다”고 말했다.
안 전 수석은 이어 이 전 부회장이 지난 20대 총선을 앞두고 ‘비례대표 공천이 가능하냐’고 물어본 적이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 “사적으로 나눈 대화이긴 하지만 그런 사실은 있다”고 인정했다.
이 전 부회장은 미르·K스포츠 재단 설립과 관련 ‘최순실 게이트’가 본격화하기 이전에 출입기자들을 상대로 수 차례 간담회를 갖고 “전경련이 재단 설립을 자발적으로 주도한 것”이라고 ‘거짓 해명’을 했다. 하지만 검찰 수사와 재판을 받을 때는 “청와대 압력으로 한 일”이라며 ‘피해자’로 입장을 바꿨다.
한편, 전경련은 이 전 부회장의 퇴직금 산정을 마치긴 했지만 아직 퇴직금을 지급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