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청과 중진공은 정책자금 브로커 부당개입 차단으로 정책자금 투명성을 높인다고 14일 밝혔다.
우선 이를 위해 신청 단계에서 ‘정책자금 브로커’ 개입 사전 방지를 위해 ‘사전상담예약제도’를 운영하고, 온라인융자 신청시스템 내에 자금신청 매뉴얼 동영상을 게시했다.
그리고 정책자금 신청서 작성을 전담하는 융자신청 도우미를 중진공 31개 전 지역본·지부에 배치해 기업들의 편의성을 높였다.
아울러 향후 ‘정책자금 브로커’를 통한 부당개입 적발 시, 기업은 부당개입 정도에 따라 정책자금 신청이 최소 6개월에서 최대 3년까지 제한된다. 부당개입한 브로커에 대해서는 형사고발 의무화 및 관련 자격정지, 등록취소 등의 조치로 적극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또한 기업에서 손쉽게 정책자금 브로커를 판별할 수 있도록 대표적인 부당개입 사례 8가지(정책자금 지원결정을 조건으로 고액의 성공보수 요구 등)와 브로커들의 접근방법 등을 담은 ‘정책자금 브로커 종합안내 리플렛’을 제작해 상담창구에 비치했다.
이외에도 정책자금 융자를 위한 제출서류 준비과정에 브로커가 개입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전자서명 제도’를 도입하여 제출서류를 간소화했으며, ‘금융거래확인서 조회시스템’ 적용 은행을 확대할 계획이다.
중소기업진흥공단 조한교 기업금융처장은 “이번 조치를 통해 ‘정책자금 브로커’의 개입을 원천 차단하여 금융부조리의 사전예방 및 정책자금 투명성·공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정책자금 브로커’ 신고는 중진공 전국 31개 지역본·지부 내 설치된 정책자금 브로커 신고센터에서 접수하고 있다. 자세한 연락처 문의는 중소기업 통합콜센터로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