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2월 중 금융시장 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 1월 말 현재 저축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9조2624억원으로 한 달간 9775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은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3년 10월 이후 가장 큰 증가 규모다.
하지만 이후 저축은행중앙회 측에서 "실제 1월 중 증가액은 5000억원 수준"이라는 해명 자료를 내면서 혼선이 빚어졌다.
이에 한은은 오후 늦게 1월 저축은행 가계대출의 실제 증가액이 5083억원이라고 수정 전달했다.
이는 작년까지 저축은행 가계대출 통계에서 제외됐던 '영리목적의 가계대출'이 올해 포함됐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영리목적 가계대출 4692억원이 저축은행 가계대출 잔액에 한꺼번에 반영되면서 이같은 소동이 벌어진 것이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원래는 가계대출로 분류돼 있던 항목인데 확인 중 기타대출로 돼 있는 것을 확인하고 이번에 순수가계대출에 넣었다"고 설명했다.
한은 역시 "금감원이 저축은행의 가계대출을 모니터링하는 과정에서 영리목적의 가계대출로 분류되던 영농자금 등 특수한 조합 자금이 순수 영리성이 없다고 판단돼 저축은행중앙회가 가계대출에 포함시킨 것으로 보인다"고 해명했다.
다만 한은이 정확하지 않은 가계대출 통계를 발표했다는 점에서 신뢰성에 대한 비판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