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봄 1천가구 이상 대단지 3만6천여가구 공급…"침체된 분양시장 반전 이끌까?"

2017-03-09 11:06
  • 글자크기 설정

편의성, 환금성 갖췄고 랜드마크 역할 수행해 인기

불황기인 만큼 지역별 청약 분위기 극명히 엇갈릴 수도…

2017년 3~4월 1000가구 이상 분양단지 지역별 공급 추이. [자료출처=포애드원]


아주경제 김충범 기자 = 최근 분양시장이 경기 침체, 대출 규제, 계절적 비수기 여파 등의 요인으로 예년에 비해 침체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가운데 올 봄 미니신도시급 규모를 자랑하는 1000가구 이상 단지들이 대거 쏟아져, 분양시장 분위기가 반전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9일 포애드원의 분석 자료에 따르면 이달부터 오는 4월까지 전국에 공급되는 1000가구 이상 아파트는 총 24곳, 3만6606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가 8곳, 1만2490가구로 가장 공급량이 많았고 △서울 4곳(5703가구) △충북 2곳(4936가구) △부산 3곳(3710가구) △경남 2곳(3058가구) △광주 2곳(2824가구) △경북 1곳(1500가구) △충남 1곳(1265가구) △전북 1곳(1120가구) 등으로 조사됐다.

통상적으로 1000가구가 넘는 대단지들은 수요층의 호응이 높다. 단지 규모가 클수록 대지면적이 넓어 조경과 커뮤니티 시설이 잘 갖춰져 있고, 이로 인한 입주민들의 거주 만족도도 높기 때문이다.

대규모 단지의 아파트값 상승률도 대체로 높다. 부동산114의 분석자료에 따르면 작년 3.3㎡당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5.02%(997만원→1047만원) 올랐는데, 가구 규모별로 살펴보면 1500가구 이상 단지가 7.72%(1296만원→1396만원)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 같은 분위기와 함께 올 봄에는 주로 대형 건설사 위주의 대단지 공급이 이뤄질 전망이다.

실제로 한화건설은 이달 부산 부산진구 연지1-2구역에서 총 1113가구 규모의 아파트를 공급하며, GS건설은 4월 경기 안산시 고잔신도시에서 3370가구의 매머드급 단지 분양에 돌입한다. 또 롯데건설은 4월 서울 강동구 상일동 고덕주공7단지를 재건축해 1859가구를 선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