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커 감소만으로 성장률 0.5%p↓…불안한 한국경제

2017-03-08 15:48
  • 글자크기 설정

IBK경제연구소 “17조원 규모 손실…최악엔 1.07%p까지 타격”

주요 경제기관들 하반기 소폭 하향조정 불가피…1%대 준비해야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현재로서는 피해가 소비재와 관광 부문에 집중될 가능성이 크다. 중간재 수출에는 아직까지 영향이 없을 것이다. 문제는 수산물 등 교역전반에 걸쳐 보복이 확산될 경우, 경제성장률이 0.5%p 이상 하락 할 수도 있다.”

대다수 전문가들은 중국의 사드보복이 관광부문에서 다른 분야로 확대될 것을 경계하고 있다. 아직까지 사드보복이 ‘현재진행형’이라는 부분을 감안하면, 4월 이후 충격파가 더 클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관광분야의 경우, 오는 15일이 최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15일은 중국 여유국이 정한 한국 관광상품 판매 금지일이다. 관광·여행업계는 이때를 기점으로 중국인 유입과 관련 매출이 크게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국내에 방문 중인 중국인들은 1개월전에 구매한 상품으로, 15일에서 일주일이 지난 시점부터 중국인 관광객이 급격히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유커의 감소는 국내 소비시장의 새로운 악재로 부상했다. 전체 성장률을 0.5%p를 떨어뜨릴 정도로 힘이 막강해 졌다. 유커가 한국에서 소비하는 규모가 어느새 한국경제 GDP의 0.53%를 차지한다는 부분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아직 사드보복이 전초전 성격이라는 점에서 중국내 반한 감정이 절정에 달할 경우, 한국경제 손실도 후폭풍이 상당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IBK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 경제보복이 본격화될 경우, 우리 경제에 미칠 경제적 손실 규모가 최악에는 150억 달러(약 17조2000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장우애 IBK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중국내 반한감정 확산과 영향’이라는 보고서에서 과거 중‧일 영토분쟁에 따른 일본 경제피해 사례를 검토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같이 추정했다.

지난 2010년 9월 일본 해상순시선이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주변에서 조업 중이던 중국 어부를 체포하면서 1차 분쟁이, 2012년 9월 11일 일본 정부가 민간 소유였던 센카쿠 열도를 국유화하자 2차 분쟁이 벌어졌다.

특히 2차 분쟁 당시 중국내 반일 감정이 최고조에 달하며 대규모 폭력시위가 발생하고 일본산 불매운동도 확산됐다.

이에 따라 일본의 대중 수출은 2011년 20.6%, 2012년 6.4% 감소하고 일본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은 2012년 10월 이후 11개월간 28.1%나 급감했다.

장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수출 비중이 45.9%로, 일본(17.9%)보다 높고 전체 수출에서 대중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26.0%로 일본(17.5%)보다 높아 대중국 수출 둔화가 경제에 미치는 파급력은 일본에 견줘 훨씬 클 것으로 내다봤다.

일본 사례를 참고로 중국 경제보복이 본격화돼 상품수출이 5%, 관광객이 20%, 콘텐츠산업 부가가치가 10% 감소할 경우와 상품수출이 10%, 관광객 30%, 콘텐츠산업 부가가치는 20% 감소할 경우로 구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