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8일 끝내 탈당계를 제출했다. 김 전 대표는 민주당을 떠나며 "뒤로 물러나는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김 전 대표가 '개헌'을 고리로 한 새판짜기를 모색하는 가운데 민주당 지도부는 개헌 시기를 못박고 원심력 차단에 나섰다.
◆ 김종인 "탄핵 이후 정치 상황 보고 결단"
김 전 대표는 이날 오전 보좌관을 통해 민주당에 탈당계를 냈다. 이로써 김 전 대표는 지난해 1월 15일 민주당 총선 선대위원장직을 수락하며 입당한지 약 1년 2개월 만에 당을 떠나게 됐다. 김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저는 오늘 민주당을 떠난다. 국회의원직도 내려놓는다. 이 당에서 제가 할 수 있는 일은 더 이상 없기 때문”이라고 '탈당의 변'을 남겼다.
그는 그러면서 "뒤로 물러나는 것은 아니다. 분열의 씨앗이 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라며 "탄핵 판결 이후의 정치 상황을 지켜보며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 깊은 고민의 시간을 갖겠다"고 밝혔다.
김 전 대표는 바로 다른 정당에 입당하거나 대권 행보를 시작하지는 않고 장고할 것으로 보인다. 김 전 대표는 이날 대선 출마 여부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그건 앞으로 두고 두고 생각해볼 것"이라고 했고, 신당을 창당할 것이냐는 물음에도 "두고 보라"고만 답했다.
◆ 민주당 "개헌, 내년 지방선거 때 국민투표"
민주당은 김 전 대표의 탈당이 불러올 정치적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당분간 추가 탈당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 민주당 한 관계자는 "김 전 대표는 대선 출마라는 본인의 목표가 분명해 탈당했지만, 비례대표는 의원직을 내려놔야 해서 따라 나가기 어려울 것"이라며 "의원들의 경우 민주당 지지율이 압도적인 상황에서 지역 조직을 설득해 탈당하기는 쉽지 않다"고 내다봤다.
다만, 김 전 대표가 개헌을 매개로 제3지대 구축에 나서자 민주당은 이날 열린 의원총회에서 '2018년 지방선거 때 개헌 국민투표 실시'로 개헌 시기를 정했다. 이재정 원내대변인은 의총이 끝난 뒤 "우리 당 대선주자들에게 개헌에 대한 입장을 밝히라고 요구하기로 했다"며 "특히 개헌 시기와 관련해 폭넓은 의견 수렴을 통해 가능한 한 내년 지방선거 일정에 맞출 수 있도록 각 대선 후보에게 권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개헌 방향에 대해선 다양한 의견이 분출했지만, 대선 주자들의 입장을 고려해 당론으로 정하지는 않기로 했다.
이날 의총은 김 전 대표의 탈당 전인 지난달 24일 당내 개헌파 의원의 요구로 개최된 것이다. 하지만 김 전 대표가 개헌 논쟁에 불씨를 댕긴 상황에서 당 차원에서 개헌 의지를 피력할 필요가 있다는 지도부의 전략적 판단도 담긴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과 범보수 진영이 '개헌 연대'로 민주당을 반(反)개헌 세력으로 몰아붙이며 파상 공세를 취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려는 포석도 있다. 이날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 바른정당은 '분권형 대통령제'와 '대선 전 개헌'을 추진키로 결의를 다졌지만, 민주당은 대선판을 흔들려는 정략적이고 졸속으로 추진하는 개헌에는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 김종인 "탄핵 이후 정치 상황 보고 결단"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3/08/20170308152412336413.jpg)
김 전 대표는 이날 오전 보좌관을 통해 민주당에 탈당계를 냈다. 이로써 김 전 대표는 지난해 1월 15일 민주당 총선 선대위원장직을 수락하며 입당한지 약 1년 2개월 만에 당을 떠나게 됐다. 김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저는 오늘 민주당을 떠난다. 국회의원직도 내려놓는다. 이 당에서 제가 할 수 있는 일은 더 이상 없기 때문”이라고 '탈당의 변'을 남겼다.
그는 그러면서 "뒤로 물러나는 것은 아니다. 분열의 씨앗이 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라며 "탄핵 판결 이후의 정치 상황을 지켜보며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 깊은 고민의 시간을 갖겠다"고 밝혔다.
◆ 민주당 "개헌, 내년 지방선거 때 국민투표"
민주당은 김 전 대표의 탈당이 불러올 정치적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당분간 추가 탈당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 민주당 한 관계자는 "김 전 대표는 대선 출마라는 본인의 목표가 분명해 탈당했지만, 비례대표는 의원직을 내려놔야 해서 따라 나가기 어려울 것"이라며 "의원들의 경우 민주당 지지율이 압도적인 상황에서 지역 조직을 설득해 탈당하기는 쉽지 않다"고 내다봤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3/08/20170308152513460550.jpg)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추미애 대표.[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다만, 김 전 대표가 개헌을 매개로 제3지대 구축에 나서자 민주당은 이날 열린 의원총회에서 '2018년 지방선거 때 개헌 국민투표 실시'로 개헌 시기를 정했다. 이재정 원내대변인은 의총이 끝난 뒤 "우리 당 대선주자들에게 개헌에 대한 입장을 밝히라고 요구하기로 했다"며 "특히 개헌 시기와 관련해 폭넓은 의견 수렴을 통해 가능한 한 내년 지방선거 일정에 맞출 수 있도록 각 대선 후보에게 권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개헌 방향에 대해선 다양한 의견이 분출했지만, 대선 주자들의 입장을 고려해 당론으로 정하지는 않기로 했다.
이날 의총은 김 전 대표의 탈당 전인 지난달 24일 당내 개헌파 의원의 요구로 개최된 것이다. 하지만 김 전 대표가 개헌 논쟁에 불씨를 댕긴 상황에서 당 차원에서 개헌 의지를 피력할 필요가 있다는 지도부의 전략적 판단도 담긴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과 범보수 진영이 '개헌 연대'로 민주당을 반(反)개헌 세력으로 몰아붙이며 파상 공세를 취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려는 포석도 있다. 이날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 바른정당은 '분권형 대통령제'와 '대선 전 개헌'을 추진키로 결의를 다졌지만, 민주당은 대선판을 흔들려는 정략적이고 졸속으로 추진하는 개헌에는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