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해빙’ 김대명, 이름은 하나인데 별명은 여러 개

2017-03-06 08:00
  • 글자크기 설정

* 다음 기사는 해당 영화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영화 '해빙'에서 성근 역을 열연한 배우 김대명이 서울 종로구 한 카페에서 진행한 아주경제와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아주경제 최송희 기자 = 이름은 하나인데 별명은 여러 개다. 배우 김대명(37)을 두고 여러 갈래로 나뉘는 의견들은 좀처럼 하나로 모이질 않는다. 서글서글한 눈매에 다정다감한 목소리를 가진 그를 두고 누군가는 드라마 ‘미생’ 속 김대리를, 또 다른 누군가는 ‘특종: 량첸살인기’ 속 살인마의 얼굴을 떠올리곤 하니까.

지난 1일 개봉한 영화 ‘해빙’(감독 이수연)은 우연히 살인의 비밀에 휘말려 점점 두려움에 휩싸여가는 내과 의사 승훈(조진웅 분)과 의심스러운 주변 인물 간의 팽팽한 관계를 담아낸 작품이다.

극 중 김대명은 친절한 집주인 성근을 연기한다. 성근은 지나칠 정도로 친절하고 다정다감하지만 어째서인지 섬뜩함을 지울 수 없는 인물. 배우 김대명을 더욱 세분화하고 여러 각도에서 살피는 캐릭터다. 한 작품 안에서 여러 차례 변주와 변화를 거치는 건 어떤 경험이었을지 이야기를 나눠보았다.

영화 '해빙'에서 성근 역을 열연한 배우 김대명이 서울 종로구 한 카페에서 진행한 아주경제와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끊임없이 변주한다. 밝고 건전한 이미지에서 완벽히 뒤틀린 모습까지 연기했다
- 어쩌다 보니 그렇게 됐다. 영화를 하면서 센 역할을 많이 맡았다. 사이코패스나 테러범까지. 드라마로는 조금 밝은 역할들을 해온 것 같다.

일종의 전략인가?
- 그런 건 아니다. 작품을 두고 ‘하고 싶다’는 마음이 들면 출연하는데, ‘미생’의 경우는 보통 사람을 잘 표현하고 싶었고, ‘마음의 소리’는 대중들에게 웃음을 주고 싶었다. 그리고 ‘해빙’은 시나리오가 너무 재밌어서 배우로서 꼭 해보고 싶었던 작품이었다. 밀도 있고 면밀한 차이를 두고 이야기를 끌고 가는 것이 흥미로웠다.

감독님께서 캐스팅의 이유로 목소리를 꼽았다. 다정다감한 목소리지만 여러 상황에서 다르게 느껴지는 게 포인트다
- 완전히 나쁜 사람처럼 보이는 건 좋아하지 않는다. 거기다 ‘해빙’ 속, 성근의 경우에는 주위에 있는 누구나를 표현하고 싶었다. 먼 나라 이야기가 아닌 것처럼 주변 사람들처럼 느껴지도록 말이다.

대중적으로는 따듯한 이미지, 작품적으로는 섬뜩한 이미지들을 선호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 선호하는 건 아니다. 쫓아가는 것도 아니다. 그냥 작품을 보고 재밌으면 선택하는 편이다.

영화 '해빙'에서 성근 역을 열연한 배우 김대명이 서울 종로구 한 카페에서 진행한 아주경제와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성근은 답을 정해두고 연기할 수 없는 캐릭터였다. 인물마다 시점마다 캐릭터에 변화가 커지기 때문이다
- 어떤 정답을 피해가려고 하기보다는 ‘성근이 왜 이런 행동을 하는지’가 더 중요했다. 감독님과 많은 이야기를 나눴고 짜임새 있게 연기하고자 했다. 수가 달라지면 어디로 갈지 모르는 작품이기 때문에 예민하게 작업을 했던 것 같다.

조진웅은 인물 적인 측면에서 즉흥적인 연기도 많이 했다는데, 김대명은 어떤 편이었나?
- 저는 애드리브를 즐기는 편이 아니다. 감독님과 대화하고 리허설대로 연기하는 편이다.

앞서 말했듯 성근 캐릭터는 트릭이 있는 캐릭터다
- 그런 고민을 했다. 내가 바라보는 시선과 그가 바라보는 시선은 한끗 차이라고. 성근은 결과적은 결과적으로 아버지의 행동들을 몰랐다고 생각한다. 의심만 해왔던 거고 마지막 블랙박스로 모든 것이 드러난다고 생각했다.

영화 '해빙'에서 성근 역을 열연한 배우 김대명이 서울 종로구 한 카페에서 진행한 아주경제와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성근을 연기할 때 고개보다 시선이 먼저 돌아가는 연기를 펼쳤다고 했다. 그런 것에서 오는 차이는 무엇인가?
- 끊임없이 폭력을 행하는 게 아니라 신경을 긁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고개를 확 돌리는 것과 미세하게 눈이 돌아가는 건 엄연히 다르지 않나. 그 지점에 고민이 많았다. 어떻게 하면 작게 끊임없이 상대를 줄편하게 할 수 있을까.

감정선에 어려움도 많았겠다
- 아내가 친정집으로 떠나고 성근이 승훈을 만나는 장면을 찍을 때 가장 많이 고민했다. 시간상으로는 그날 저녁이 성근이 모든 상황을 안 뒤 승훈을 만나는 장면이었다. 철저히 감출 것인가 드러낼 것인가에 고민이 컸다.

이처럼 자신을 몰아붙이는 캐릭터들을 끝내고 나면 어떤가?
- 멍 때린다. 하하하. 그냥 가만히 지내는 편이다. 동네를 산책하거나.

이쯤 되면 주연에도 욕심이 날 법한데, 천천히 꾸준하게 작품을 하는 것 같다
- 저는 원톱 욕심이 없다. 크든 작든 쓸모 있는 배우이고 싶다. 할 수 있는 게 연기밖에 없어서, 상대에게 쓸모 있는 무언가를 주고 싶다. 관객이 울고 싶으면 울게 해주고, 웃고 싶으면 웃게 해주는 거다. 쓸모 있는 배우가 되는 건 어려운 일인 것 같다.

연기자로서의 목표 또한 그런 부분이겠다
- 주위의 누군가로 있길 바란다. 아무 부담 없이 ‘저런 것도 할 수 있구나!’ 받아들일 수 있었으면 좋겠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