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3/03/20170303154632923155.jpg)
[사진 = 아주경제DB]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정부가 올해 40건 이상 기업 구조조정을 단행할 방침이다.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업까지 확대해 부실기업을 시장에서 퇴출시키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0차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담은 구조조정 활성화 방안을 내놨다.
기업 구조조정은 지난해 8월 기업활력법을 시행한 뒤 조선과 철강, 유화 등 8개 업종에서 24건의 사업재편 승인이 이뤄졌다.
유 부총리는 “기업활력법 활용에 대한 현장 목소리도 충분히 수렴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제도를 보완하겠다”며 “부실징후기업 신용위험평가 강화, 부실채권 적기 매각, 구조조정 펀드 활성화라는 3가지 방향 아래에서 업계 의견을 수렴해 이달 중 시장친화적 구조조정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진행 중인 조선업 구조조정은 대우조선의 경우 채권단을 중심으로 자구노력과 수주 및 유동성 상황 등을 밀착 점검 중이다. 경영정상화를 위해 유동성 확보 등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대형 3사 근로자도 조선업 특별고용지원업종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 만큼 자구노력을 차질 없이 추진하면서 핵심인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유 부총리는 “해운업은 이달 초 한국선박해양을 통해 현대상선에 7000억원 자본 확충을 지원하고 상반기 중 선박신조 프로그램을 가동해 해운업과 조선업이 상생할 수 있는 성공 모델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