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3/02/20170302004008203847.jpg)
경북도는 지난 2월 28일 도청 동락관에서 경북농민사관학교 10년의 역사를 되짚어 볼 수 있는 다채로운 기념행사와 함께 우리농업 미래 10년 대토론회를 가졌다. [사진=경상북도 제공]
아주경제 최주호 기자 =경북도는 지난 2월 28일 도청 동락관에서 농어업인, 관련단체장, 관련교수, 전문가 등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북농민사관학교 10년의 역사를 되짚어 볼 수 있는 다채로운 기념행사와 함께 우리농업 미래 10년 대토론회를 가졌다고 1일 밝혔다.
‘10주년 기념행사’에서는 경북농민사관학교 발전 유공자에 대한 표창, 축사, 10년사 증정, 동영상 상영 및 비전 선포 순으로 진행됐으며, 이어진 대토론회에서는 3명의 전문가가 주제 발표 후 종합토론을 벌였다.
그동안 경북농민사관학교는 농어업 전문가 1만4000여명을 배출했으며, 이들은 도내 곳곳의 농어업 현장에서 농업소득 4년 연속 전국 1위, 농가부채 전국 최저, 억대농가 전국 최고라는 성적표로 화답했다.
이러한 성과에 힘입어 경북농민사관학교는 10년 동안 수많은 어려움을 이겨내며 경북을 넘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농어업 전문 교육기관으로 우뚝 서는 성과를 이뤄냈다.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 2009~2015년까지 CEO발전기반 주축 사업장 209개에 대해 운영 실태를 조사한 결과 사업장 전체 매출액은 240억 원에서 445억 원으로 2배 정도 신장하는 성과를 올렸으며, 새로운 일자리도 2000여명이 창출되는 효과를 이뤘다.
‘비전선포식’에서는 개교 10주년을 맞아‘농어업 환경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원년’임을 선포하고, 앞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에 농업인에게 실질적 소득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교육을 실시할 것을 선포했다.
이후 진행된 토론에서는 4차 산업혁명 또한 지능화된 소프트웨어이지만 그 모든 출발과 움직임의 원인은 결국 사람이며, 경북농민사관학교를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인재 육성 인큐베이터로, 인적·산업정보 플랫폼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한 우리나라도 스위스연합헌법 104조(1996년 개정)의 사례처럼 농업·농촌이 공익적·다원적 기능과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국가가 농업·농촌에 지원을 해야 한다는 철학을 헌법에 명시해 농업․농촌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해야 한다는 의견 개진이 있었다.
아울러 농업의 새로운 가치발견과 다양한 농업 농촌자원을 활용한 돌봄농장과 농장유치원을 조성함으로써 농촌의 소득과 사회, 경제문제를 동시에 해결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이밖에도 농가와 도시근로자 소득격차해소를 위한 기본소득개념의 직불제시행과 농촌사회유지를 위한 청년농업인 직불제도입(유럽, 일본), 전국 71개의 공립농업계고등학교를 국립농고 전환 등 열띤 토론으로 진행됐다.
김관용 도지사는 이날 축사에서 “절박한 심정으로 경북농민사관학교를 설립했으며 10년의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또 다른 도전을 해야 한다”며, “결국, 농업도 사람이 희망이고 미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