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2월까지 4개월 연속 증가세가 확실시되는 등 수출이 살아나는 기미를 보이자, 정부가 회복 불씨를 살리기 위해 정책역량을 총동원한다.
상반기 수출 마케팅 예산의 60%를 투입하고, '포스트 차이나'를 발굴하는 등 수출 지역 다변화에 나선다. 또 수출 품목과 방식도 바꾼다는 방침이다.
세부적으로 전체 수출 마케팅 예산의 60% 이상을 상반기내 투입한다. 올해 수출 마케팅 지원 규모는 지난해 2878억원보다 29.6% 늘어난 3729억원이다.
수출상담회, 무역사절단 파견사업도 전체의 67%를 상반기에 조기 시행한다. 기업이 원하는 지원을 스스로 고를 수 있는 수출바우처는 5월부터 신규 지급한다.
수출지역 다변화도 추진, 보호무역주의를 주창하는 트럼프 미 신정부와 사드(한반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로 인한 중국의 경제보복 등에 대응한다.
대상 국가는 인도·중동·ASEAN 등 신흥국이다. 인도는 인구 12억5000만명, 구매력 기준 국내총생산(GDP) 세계 3위의 거대시장이다. 6개 아랍 산유국이 모인 걸프협력회의는 1인당 GDP 3만3000 달러의 높은 소득 수준을 바탕으로 빠른 성장이 기대된다. ASEAN도 연평균 5%의 경제성장률을 보이며 '포스트 차이나'로 떠올랐다.
2.6%에 불과한 중소·중견기업의 수출 비중을 늘리는 데도 주력한다. 코트라 등 8개 기관 18개 지원사업을 통해 올해 내수기업 6000개를 수출기업으로 전환하고, 5년내 3만5000개의 수출기업을 육성한다.
수출 중소·중견기업의 자금 지원을 위한 무역금융은 72조원으로, 지난해보다 4조원 증액한다.
수출 품목과 방식도 바꾼다. 올해 화장품·의약품·농수산식품·생활용품·패션의류 등 5대 소비재 수출액 목표를 270억 달러로 잡았다. 지난해 235억 달러보다 14.9% 늘어난 것이다.
5대 소비재 수출 확대를 위해 문화융합 마케팅과 품목별 특화 마케팅을 지원하고, 미래먹거리인 유망품목에 대한 지원도 이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