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정부가 드론·자율주행차·무인선(船) 등 차세대 무인이동체 기술개발을 위해 2021년까지 약 545억원을 투입하고 공공수요 기반의 무인기 기술 선점에 나선다. 공공수요로 초기 시장을 만들어 무인기 시장의 성장동력을 키우려는 전략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3일 무인이동체 미래선도 핵심기술 개발사업 추진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사업으로 이들 무인기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탐지, 인식, 자율지능, 동력원, 통신 등의 공통 기술 개발을 우선적으로 추진, 차세대 원천기술 개발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이 과정에서 정보통신기술(ICT), 전자부품, 기계, 소재 등 다양한 분야의 역량있는 기업과 출연연, 대학 간 융합도 유도한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에 요구되는 다기능성의 고도화된 무인이동체를 선보이기 위한 원천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인식, 작업, 기동하는 원천기술을 단계적으로 개발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또 낮은 고도에서 안전한 무인기를 운항할 수 있도록 하는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 감시기술(UTM)'을 개발해 교통관리 체계와 관제 기술, 지상 감시 장치 등을 선보인다.
특히 올해는 단순한 기술개발에 그치지 않고 연구성과가 연구자의 지적재산권으로 이어질 수 있게 신속한 상품화를 추진한다. 이를 위한 특허 관련 컨설팅을 주 1회 진행한다.
정병선 미래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지난 2015년 무인이동체 기술개발 및 산업성잔 전략을 수립하고, 지난해 무인이동체 발전 5개년 계획을 수립하는 등 연구개발 전략과 체계를 마련했다”며 “이제는 실질적인 기술개발과 원천기술 확보를 서둘러 국내 중소·벤처기업들이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