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1/26/20170126170742784430.jpg)
[사진=연합뉴스]
아주경제 주진 기자 =범보수진영의 대선주자인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정치교체’ 슬로건으로 '제3지대'의 깃발을 높이 들었다.
기존 정당에 들어가는 대신 독자 세력화를 모색하며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한 권력 분산형 개헌에 나서겠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귀국 후 각종 구설수와 논란으로 컨벤션 효과는 사라졌고, 지지율마저도 20%대가 붕괴됐다. 반 전 총장 완주 여부까지도 도마 위에 오를 정도로 존재감이 흔들리고 있다.
정치신인으로 정치경험이 없고, 이로 인한 취약한 정치기반이 최대 약점이다. 지난해까지는 친박 주자 행보를 보이다 지금은 친이명박계 인사들, 충청권 의원들, 외교관 그룹과 손잡고 캠프를 유지하고 있다.
그는 외연 확장을 위해 새누리당, 바른정당 등 보수 정치세력과의 연대 뿐 아니라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대위원장, 안철수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등 야권의 유력 정치인들과도 손을 잡을 수 있다며 가능성을 열어뒀지만, 상황은 여의치 않다.
설 연휴 이후에도 반 전 총장의 지지율이 답보 상태에 머물 경우 새누리당에서는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정우택 원내대표, 바른정당에서는 유승민 의원, 남경필 경기지사 등이 대안으로 거론되지만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같은 예상 밖 인물이 다크호스로 등장할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