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청은 22일 '2016년도 신규 벤처펀드 조성 및 신규 벤처투자 동향'을 발표, 지난해 신규 벤처펀드 조성액은 3조1998억원으로 전년의 2조7146억원보다 17.9% 증가했다. 3조원 돌파는 2000년대 집계 후 처음이다.
신규 벤처투자액은 전년(2조858억원) 대비 3.1% 증가한 2조1503억원을 기록해 전년에 이어 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중기청은 미국과 중국의 벤처투자가 각각 9.3%, 25.4% 감소하는 등 전 세계 벤처투자가 위축되는 상황에서 한국에서 벤처투자액의 최고 기록을 경신한 것은 고무적이라고 평가했다.
중기청은 창업초기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이 늘고 민간자본의 벤처펀드 출자가 증가하는 등 벤처투자 내용도 좋아졌다고 분석했다.
설립 3년 이내의 창업초기기업 투자 비중은 36.8%(7909억원)로 전년(31.1%, 6472억원) 대비 5.7% 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설립 7년이 넘은 후기단계 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은 6.5% 포인트 감소했다.
창업초기기업은 아직 시장에서 검증되지 않아 비용을 회수하지 못할 수도 있어 투자자들이 투자를 꺼리는 경향이 있다.
민간자본의 벤처펀드 신규 출자는 전년(1조4932억원)보다 35.2% 증가한 2조188억원으로 2조원을 넘은 것은 처음이다. 전체 벤처펀드 조성액 중 민간자본 비중도 전년(55.0%) 대비 8.1% 포인트 올라간 63.1%를 나타냈다.
선배 벤처기업의 벤처펀드 출자액도 2078억원을 기록, 전년(1372억원) 대비 51.5% 늘어 중기청은 이것이 창업-성장-회수-재투자로 이어지는 벤처투자 선순환 생태계가 점점 활발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2016년에 가장 많이 투자한 벤처캐피탈은 한국투자파트너스㈜로 84개 기업에 모두 1482억원을 투입했다.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가 40개 기업에 959억원, 에스비아이인베스트먼트가 34개 기업에 878억원을 각각 투자했다.
주영섭 중기청장은 "올해도 모태펀드를 통한 벤처펀드 출자예산을 확대하고 신규 민간 출자자를 발굴하는 등 공격적인 벤처투자 정책을 추진할 것이다. 융자가 아닌 투자 중심의 선순환 창업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