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르포] 여의도에 불어닥친 신탁형 재건축 바람..."신탁방식 재건축 리트머스 시험지"

2017-01-22 10:54
  • 글자크기 설정

'시범아파트' 한국자산신탁 예비신탁사로 선정, '공작아파트' KB부동산신탁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자금운용투명성, 전문가집단, 조합설립 절차 생략 등 절차 간소화 장점 부각

이미지 확대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시범아파트 전경. [사진=김충범 기자]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시범아파트 전경. [사진=김충범 기자]


아주경제 강영관·김충범 기자 = #. "아무래도 기존 사례가 없다보니 주민들이 신탁 방식의 재건축에 대해 굉장히 생소해하는 것은 맞지요. 하지만 사업 추진이 일반적인 방식에 비해 투명하고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어 젊은 수요층을 중심으로 호응이 높은 편입니다." (시범아파트 재건축 사업추진 관계자)

22일 1000가구 이상 대규모 재건축 단지 중 최초로 신탁방식이 도입돼 세간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여의도 '시범아파트'를 찾았다.
여의도동 남동부 핵심 부지에 장방형태로 터줏대감처럼 자리하고 있는 이 단지는 올해로 입주 46년차를 맞았고, 총 1790가구, 24개동의 매머드급 규모를 갖췄다.

이 단지는 입지여건으로나, 단지규모로나 재건축이 됐어도 진작 됐어야 했지만 2008년 추진위원회를 구성한 이래 좀처럼 사업 추진에 진척을 보이지 못했다. 전체 주민의 75% 동의를 얻지 못해 조합을 구성하지 못했던 탓이다.

하지만 최근 시범아파트 주민들 간에는 재건축에 대한 기대감이 솔솔 피어오르고 있다. 추진위가 작년 11월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한국자산신탁'을 예비신탁사로 최종 선정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번 사업은 향후 신탁업계 재건축 진출의 본격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관심이 더욱 집중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재건축 상담사무실 현수막(사진 우측 하단)이 나부끼고 있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시범아파트 단지 내 전경. [사진=김충범 기자]

재건축 상담사무실 현수막(사진 우측 하단)이 나부끼고 있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시범아파트 단지 내 전경. [사진=김충범 기자]


시범아파트 재건축 추진위 관계자는 "일단 주민들의 반응은 전반적으로 아주 좋다"고 운을 떼며 "일반적인 재건축 조합과 비교해 신탁사가 부동산 전문가 집단으로 이뤄져있고, 시범아파트 재건축 사업이 과계 실패한 전례가 있다 보니, 주민들은 신탁방식의 안정성에 높은 점수를 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기존 재건축 사업에 비해 조합을 설립하는 절차가 생략돼 2년가량의 사업기간이 단축되는 점도 주민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다"며 "게다가 올해 말까지 유예된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를 피해야한다는 점도 신탁사 선정에 힘을 싣는 요소"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이번 시범아파트 재건축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소유주 75% 이상의 동의를 받을 수 있느냐다. 75% 이상의 동의율을 기록해야 한자신이 사업 시행자로 나설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장에서는 동의율을 끌어올리는 것에 대해 쉽진 않지만, 그렇다고 불가능한 수준은 아니라는 답변을 내놨다.

관계자는 "정확하진 않지만 현재 신탁방식 재건축 추진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주민들의 비율이 약 60% 수준이다. 동별로 2분의 1 이상 동의율을 확보하되, 전체 75%가 넘는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며 "역시 관건은 이 단지의 규모가 1500가구가 넘는 대단지라는 점이 변수"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 곳에서 오랫동안 거주하셔서 재건축에 거부감이 있으신 어르신들을 설득하는 작업이 이번 동의율 향상의 핵심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본다"며 "다만 중년층 이하는 대체로 신탁방식에 대한 이해도 빠르고, 긍정적인 반응을 내비쳤다. 남은 1~2개월 동안 신탁방식에 대해 집중적으로 설명하면 75%를 채우는 것도 요원한 일은 아니다"라고 예상했다.

한편 시범아파트에서 인터뷰를 마치고 나서는 15분 정도 '대교'와 '삼부'를 가로질러 '공작아파트'에 도착했다. 이 단지 재건축 운영위원회는 올 초 재건축 신탁사 우선협상 대상자로 'KB부동산신탁'을 선정한 바 있다.

시범아파트처럼 예비신탁사로 최종 선정된 단계가 아니기에 전반적인 분위기는 잠잠했지만, 이달 개최된 설명회를 통해 일부 주민들이 관심을 보였다는 것이 인근 공인중개업소의 전언이다.

인근 A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공작아파트의 경우 재건축 신탁방식의 밑그림에 대해 알려진 바가 전혀 없어 정확한 주민들의 반응을 파악하긴 어렵다"면서도 "기존 재건축과 차별화된 재건축 신탁 방식의 속도, 일괄 사업 시행 등의 방식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주민들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