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새누리당 윤상현 의원이 지난해 12월 29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 도중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1/19/20170119103406453456.jpg)
윤 의원은 진정서에서 “그 누구보다 이번 국정파탄 책임에 통감하고 있다”며 “과오를 참회하고 환골탈태의 쇄신으로 당을 재건하고 정권 재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선처해 주실 것을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윤 의원은 “인적쇄신 문제와 관련해서는 대상에 오른 사람들 중 공과를 명백히 가려야함은 마땅하다”며 “다만 과오가 공적을 넘지 않는다면 선처를 베풀어 주시는 것도 당의 화합과 단결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저는 친박으로 분류되나 집권초기 원내수석부대표를 맡아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사건을 둘러싸고 야당의 공세를 몸으로 막아냈다”며 “세월호 여파로 어려움을 겪던 2014년 6·4지방선거와 7·30재보선에서는 사무총장으로 선거 총책을 맡아 탈계파 공천 등의 전략으로 여당의 압승을 이끄는 등 공로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 의결 이후 인적쇄신을 추진 중인 윤리위원회는 윤 의원을 포함 서청원, 최경환 의원 등 친박 핵심 3인방에게 오는 20일 소명을 위해 출석을 통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