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은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한 연무의 발생빈도 증가와 중국에서 유입되는 봄철 황사 및 스모그의 증가로 인해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일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대기 중 미세먼지는 황산염, 질산염, 중금속, 탄소성분 등으로 구성된 복합물질이다. 그 발생원도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대기 중으로 배출된 가스상 물질의 광화학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미세먼지 성분은 화학적·물리적 생성원리가 매우 복잡하다.
이에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인천 주요지역 미세먼지 오염원 평가’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인천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조사, ▲(초)미세먼지의 화학적 특성 조사, ▲(초)미세먼지의 발생원 요인 평가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연구·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연구원에서는 국립환경과학원의 대기정책지원시스템(CAPSS,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자료를 활용한 인천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통해 미세먼지 배출량 산정 및 부문별 배출특성 파악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예정이다.
인천 주요지역의 미세먼지의 화학적 특성 조사 및 오염원 평가를 위해 미세먼지 우심지역인 남구 숭의동과 도심지역의 부평구 부평동 2개소를 선정해 미세먼지 구성성분(탄소, 이온, 중금속) 분석·평가를 통해 오염특성을 파악할 예정이다.
또한, 미세먼지 구성성분 실측자료를 바탕으로 수용모델 및 공기역궤적 분석 등을 활용하여 미세먼지 발생원별 기여도 산정 및 오염원 평가를 실시할 계획이다. 인천시 미세먼지의 고농도 사례 발생 시 장거리 이동에 의한 영향 내지는 국지적 영향을 밝히기 위해 고농도 사례의 미세먼지 특성을 조사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실제 관측자료를 분석해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연구로서 배출원의 파악 및 발생량 추산에 대해 보다 신뢰성 있는 미세먼지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데 있다.
이성모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이번 사업으로 인천 주요지역의 미세먼지 발생원 및 오염원 파악으로 「2020. 미세먼지 저감대책」에 대한 과학적 근거자료를 확보하고, 미세먼지 원인에 대한 다각적인 조사 및 지역별 맞춤형 정책자료 제공을 위하여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