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법원경매 평균낙찰가율 77.8%…8년 4개월래 최고치

2017-01-12 10:38
  • 글자크기 설정

평균 응찰자수는 5개월 연속 하락하며 3.8명 기록

지난 1년 전국 월별 낙찰가율 및 낙찰건수 [자료= 지지옥션 제공]


아주경제 강영관 기자 = 12월 부동산 경매의 평균 낙찰가율이 8년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금리 상황이 유지되고 있어 수익성이 담보되거나 저평가된 경매 물건들이 낙찰가율을 지속적으로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12일 법원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12월 전국 법원경매 평균 낙찰가율은 77.8%로 2016년 한 해 동안 가장 높은 것은 물론 2008년 8월 78.2%를 기록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수도권과 지방을 가리지 않고 높은 낙찰가율이 유지됐으며, 특히 지방도단위 지역은 주거·업무상업·토지 3대 지표가 모두 전월대비 상승했다.
반면 경매 진행건수는 12월 들어서도 소폭 하락했다. 12월 경매 진행건수는 9459건, 낙찰건수는 3608건으로 모두 전월대비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진행건수는 역대 4번째 1만건 미만을 기록했으며, 역대 3번째 최저치를 기록했다. 저금리로 인한 신규물건 감소 현상이 아직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낙찰건수도 역대 가장 적은 3608건에 불과했다.

진행건수 대비 낙찰건수를 기록한 낙찰률은 38.1%로 전월대비 1.3%포인트 하락했다. 2개월 연속 하락이다. 11.3 대책이후 일반 부동산 경기가 가라앉으면서 전반적으로 낙찰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낙찰률 하락은 자연스럽게 유찰물건 증가로 이어지는 만큼, 저금리로 인한 신규공급 감소를 유찰물건들이 일정부분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영향이 아주 크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12월 평균응찰자수는 3.8명으로 전월대비 0.2명 감소했다. 작년 7월 4.6명을 기록한 이후 5개월 연속 하락이다. 물건 감소로 인한 입찰 물건 저하 및 부동산경기 하락 등이 겹치면서 입찰자들이 경매시장을 떠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창동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전반적인 경기 침체와 더불어 부동산 가격 조정기에 접어든 만큼 입찰자들의 이탈이 눈에 띄는 한 달이었다"면서 "부동산 가격 진폭이 크고, 각종 경매 지표들이 다른 시그널을 보내는 혼란기인 만큼, 시일이 지난 가격 정보 등으로 낙찰가를 상정할 경우 큰 손해도 입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