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1/12/20170112103807763913.jpg)
지난 1년 전국 월별 낙찰가율 및 낙찰건수 [자료= 지지옥션 제공]
아주경제 강영관 기자 = 12월 부동산 경매의 평균 낙찰가율이 8년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금리 상황이 유지되고 있어 수익성이 담보되거나 저평가된 경매 물건들이 낙찰가율을 지속적으로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12일 법원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12월 전국 법원경매 평균 낙찰가율은 77.8%로 2016년 한 해 동안 가장 높은 것은 물론 2008년 8월 78.2%를 기록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수도권과 지방을 가리지 않고 높은 낙찰가율이 유지됐으며, 특히 지방도단위 지역은 주거·업무상업·토지 3대 지표가 모두 전월대비 상승했다.
진행건수 대비 낙찰건수를 기록한 낙찰률은 38.1%로 전월대비 1.3%포인트 하락했다. 2개월 연속 하락이다. 11.3 대책이후 일반 부동산 경기가 가라앉으면서 전반적으로 낙찰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낙찰률 하락은 자연스럽게 유찰물건 증가로 이어지는 만큼, 저금리로 인한 신규공급 감소를 유찰물건들이 일정부분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영향이 아주 크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12월 평균응찰자수는 3.8명으로 전월대비 0.2명 감소했다. 작년 7월 4.6명을 기록한 이후 5개월 연속 하락이다. 물건 감소로 인한 입찰 물건 저하 및 부동산경기 하락 등이 겹치면서 입찰자들이 경매시장을 떠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창동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전반적인 경기 침체와 더불어 부동산 가격 조정기에 접어든 만큼 입찰자들의 이탈이 눈에 띄는 한 달이었다"면서 "부동산 가격 진폭이 크고, 각종 경매 지표들이 다른 시그널을 보내는 혼란기인 만큼, 시일이 지난 가격 정보 등으로 낙찰가를 상정할 경우 큰 손해도 입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