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부상 소녀상 설치에 대해 제3의 장소로 이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우회적으로 피력한 것으로 풀이되는 동시에, 합의의 성실한 이행을 강조함으로써 일본 정부의 잇따른 공세에 대해 견제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 확대
![브리핑 하는 조준혁 대변인. [사진=연합]](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1/10/20170110212733489410.jpg)
이는 외교부가 지난해 12월 30일 밝혔던 입장과 거의 같은 기조다.
조 대변인은 "한일 양국정부가 2015년 말 위안부 합의의 취지와 정신을 존중하는 게 중요하고 이 합의를 착실히 이행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입장이며, 정부 차원에서 그런 제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조 대변인은 일본 각료들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나 소녀상을 둘러싼 아베 신조 총리 등 일본측의 공격적 조치와 언급 등이 합의 취지를 위반한 것 아니냐 등 민감한 질문에 합의 취지와 정신 존중, 합의의 착실한 이행을 주문처럼 되풀이했다.
"위안부 피해자 문제와 관련하여 상황악화를 가져올 수 있는 언행은 자제하는 것이 한일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서 바람직하다"는 이날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언급도 두번이나 상기했다.
이는 소녀상을 둘러싼 한일간 갈등의 확전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지만, 우리 정부가 일본의 적반하장 식 태도에 너무 미온적이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소녀상 문제에 대한 일본의 공세적 태도 배경과 관련, 2015년 12월28일 위안부 합의에서 이면합의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일각의 시각에 대해서는 "이면합의가 존재한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전혀 사실과 다르다"며 "위안부 합의는 양국간에 아주 어려운 난제를 해결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일본이 출연한 10억엔의 성격에 대해 "일본 정부의 책임인정과 사죄·반성 표명, 그 이행조치로서 일본 정부가 예산으로 출연한 기금"이라면서 "그 예산을 통해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고,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양국 정부가 협력해서 사업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