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윤주혜 기자 = “누적대출액으로 줄 세우니 신경을 안 쓸 수가 없다. 시장의 수요가 커서 부동산 대출을 취급하는 게 주요인이긴 하나 단기간에 누적대출액을 늘리려는 측면도 있다”
누적대출액 규모가 P2P금융 기업의 경쟁력을 판단하는 잣대가 되고 있다. 실제로 P2P업체를 소개할 때 누적대출액 규모가 꼬리표처럼 따라 다니곤 한다. 많이 내보낼수록 신뢰할 만한 업체라는 것이다.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다. 누적대출액이 상위에 랭크된다는 것은 취급한 상품이 많고 투자자 모집도 잘 한다는 점을 방증할 수 있다.
실제로 한 P2P 관계자는 “벤처캐피탈(VC) 투자를 받거나 언론에 소개되기 위해서는 누적대출액이 높아야 한다”며 “담보 대출 하나만 내보내도 신용대출 여러 건을 내보내는 효과가 있어 단기간에 대출액 규모를 키우기 위해서 담보도 취급하게 됐다”고 말했다.
문제는 부동산 대출이 ‘무조건’ 안전하다고 볼 수 없다는 점이다. 부동산은 경기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아차하면 부실이 날 수 있다. 때문에 물건을 심사하는 데 있어서 살얼음판을 걷는 듯한 신중함과 노하우가 필요하다.
더군다나 P2P업체들이 취급하는 부동산 대출 상품은 대다수가 후순위 담보다. 부동산 경기 하락 시 대거 부실이 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의미다.
그런 점에서 한국P2P협회가 최근 협회 회원사 각각의 누적대출액을 비롯해 연체율, 손실율 등을 공시하기로 한 것은 환영할 만하다. 덕분에 투자자들은 각 회원사의 누적대출액과 더불어 연체율 등을 꼼꼼히 비교하고 투자를 결정할 수 있게 됐다. 오로지 누적대출액 규모로 업체를 줄 세우고 과당 경쟁을 부추기는 행태는 사라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