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소현 기자 = 한국경영자총협회가 18일 259개사를 대상으로 '2017년 최고경영자 경제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49.5%가 ‘긴축경영’ 계획을 밝혔다.
이외에 ‘현상유지’는 30.7%, ‘확대경영’은 19.8%로 조사됐다. ‘긴축경영’이라는 응답은 300인 이상 기업이 60.5%, 300인 미만은 42.9%로 300인 이상 기업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긴축경영의 구체적 방법으로 ‘인력부문 경영합리화’를 선택한 기업들은 ‘조직개편’(41.9%), ‘인원감축’(22.6%), ‘임금조정’(16.1%) 등을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 국내경기 회복 '2019년 이후' 본격화 전망
국내경기의 회복세가 본격화되는 시점에 대해 최고경영자들은 ‘2019년 이후’(47.1%)를 가장 높게 꼽았다. 반면, 2017년에 회복할 것이라는 응답은 12.8%에 불과했다.
현재 경기상황에 대한 평가는 81.5%가 장기형 불황으로 보고 있어 기업의 장기불황에 대한 우려가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응답자의 62.8%는 현재 회사의 주력사업이 향후 회사의 주요 수익원으로 가능한 기간은 ‘5년 미만’이라고 응답했다. 규모별로 300인 이상은 ‘1년 이상~3년 미만’(38.5%), 300인 미만은 ‘3년 이상~5년 미만’(31.7%)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2017년 경제성장률 2.3% 전망…경영환경 최대 걸림돌 '정치·사회 불안'
최고경영자들은 2017년 경제성장률(GDP 기준)로 2.3%를 전망했다. 이는 국내 주요 기관들의 전망 2.4~3.0% 수준보다 보수적인 평가다.
2017년 경영환경의 주된 애로요인으로는 ‘정치·사회 불안’이 24.6%로 가장 높았고, 이어 ‘민간소비 부진’ 21.1%, ‘기업투자심리 위축’ 14.6%, ‘보호무역 강화’ 12.9%, ‘중국경제 둔화’ 12.3% 순으로 나타났다.
◆ 올해 대비 투자계획 축소, 채용계획 올해 수준
응답자들은 올해 대비 2017년 투자 및 채용계획 방향에 대해 투자는 축소, 채용은 올해 수준으로 유지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2017년 투자계획에 대해 39.6%가 ‘축소’로 응답해 투자 확대에 대한 부담을 나타냈다. 내년 투자 규모를 축소하겠다는 응답은 기업 규모와 관계없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내년 채용 규모는 ‘올해 수준’으로 유지하겠다는 응답이 46.2%로 가장 높았고, ‘축소’(35.8%), ‘확대’(18.0%) 순으로 나타났다. 채용 규모를 축소하겠다는 응답은 300인 이상 기업(38.6%)이 300인 미만 기업(34.7%)보다 3.9%p 높게 나타났다.
◆ CEO가 가장 선호하는 차기 대통령 유형 '사회통합형 지도자'
최고경영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차기 대통령 유형은 ‘사회통합형 지도자’이며, 차기 대통령이 반드시 갖추었으면 하는 덕목으로 ‘소통 및 화합 능력’을 꼽았다.
19대 대통령으로 가장 적합한 지도자 유형을 묻는 설문에서 응답자의 33.1%가 ‘지역·계층 간 갈등을 해소하는 사회통합형 지도자’를 선택했다. 이는 지난 2012년 조사(‘11년 12월 시행)에서 18대 대통령으로 ‘사회통합형 지도자’(37.3%)를 가장 선호했던 결과와 같다. 다만, ‘개혁 추구형’이라는 응답이 2012년에는 6.3%에 불과했으나, 올해 조사에서는 21.7%로 높게 나타났다.
차기 대통령이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덕목은 응답자의 43.4%가 ‘소통 및 화합 능력’이라고 응답했으며, 이어 ‘도덕성과 청렴성’(28.3%), ‘강력한 리더쉽’(21.4%), ‘개혁성’(6.9%) 순으로 나타났다.
◆ 美 대선 후 '보호무역주의 강화…수출부진 심화 될 것' 64.4%
미국 대선 결과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수출부진 심화 될 것’이라는 응답이 64.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주한미군 방위비 증액 등으로 재정 부담’(16.9%),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수출기업 경쟁력 개선’(7.5%) 순으로 나타났다.
◆ 내수부진 타개에 가장 필요한 조치 '규제개혁 통한 기업투자 촉진'
응답자의 43.1%는 우리 경제 내수부진 타개를 위해 가장 필요한 조치로 ‘규제 개혁 등을 통한 기업투자 촉진’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기업 규모별로 300인 이상(45.5%), 300인 미만(41.8%) 모두 ‘규제개혁 등을 통한 기업투자 촉진’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이외에 ‘대규모 사회간접자본 투자 확충’(25.3%), ‘코리아 그랜드세일 등 소비 진작 대책 마련’(12.8%), ‘최저임금 인상 등 취약계층 소득향상 대책’(9.4%)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