黃권한대행 광폭행보 발 묶일까…야권 때리기에 '속도조절'할 듯

2016-12-18 17:20
  • 글자크기 설정

‘파국이냐, 봉합이냐’…與 분당 ‘포스트 탄핵정국’ 방향타

박근혜 대통령 퇴진 촉구 제8차 촛불집회가 열린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 100m 안국역 인근에서 시민들이 행진을 하며 대통령의 즉각 퇴진을 요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사진=아주경제 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 야권은 광폭 행보에 나선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를 향해 “직분에 맞는 처신을 하라”며 때리기에 나섰다.

당장 야권은 황 권한대행에게 오는 20·21일 예정된 본회의 대정부질문에 총리 신분으로 출석하라고 통보한 상태다.
총리실은 이와 관련해 “권한대행이라는 신분으로 변경된 점을 양해해달라는 입장엔 변함이 없다”면서도 “현재 국회·여야3당과 협의 중이다. (절충안 등) 조정 가능한 방안이 있는지도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 기사 4·5면>

황 권한대행의 ‘정당별 회동’ 역제안으로 헛바퀴 중인 여·야·정 협의체의 가동도 당분간 어려울 전망이다.

야권의 사드배치와 한일 위안부 협정 등에 대한 폐기 및 전면 재검토 주장에 대해 황 권한대행측은 “변동은 없다”며 거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에 내년 5월로 예정된 사드배치 작업도 변동 없이 진행될 전망이다.

다만 총리실은 ‘오는 29일 황 권한대행이 내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할 예정’이라는 일부 언론보도를 즉각 부인하는 모습을 보여 황 권한대행의 광폭 행보를 나름 조절하는 게 아니냐는 시각도 나왔다.

탄핵 정국에 휩싸인 20대 국회.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한편, ‘포스트 탄핵 정국’이 이번 주 중대 분수령을 맞는다.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의 마지막 승부처인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위원장 선출 등에 따라 여권발(發) 원심력이 폭발, ‘파국이냐 봉합이냐’를 결정할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정우택 원내사령탑’ 체제가 출범하면서 도로 친박당으로 전락한 새누리당의 대규모 탈당 여부가 제3 지대 형성과 반기문 유엔(UN) 사무총장의 거취 등 대선 정계개편을 비롯해 여·야·정 협의체 순항을 가르는 최대 변곡점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친박계 맏형 서청원 의원과 좌장 최경환 의원은 이미 비대위원장 등의 인선 논의에 착수했다. 내부에선 ‘친박·비박 분점 공동 비대위원장’ 혹은 ‘비박계 비대위원장·다수의 친박계 비대위원 인선’ 등의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변수는 비박계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비대위원장 선임 여부다. 비박계 내부에선 정치적으로 탄핵당한 ‘폐족’ 친박계가 비대위를 장악할 경우 탈당이 불가피하다는 기류가 강하다.

다만 비박계 투톱인 김무성 전 대표는 ‘탈당 및 신당 창당’, 유 전 원내대표는 ‘당 재건론’에 힘을 싣고 있다. 비박계의 단일대오 여부가 여권발 원심력의 분수령인 셈이다.

차재원 부산 가톨릭대학교 교수는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정치적 좀비 상태인 친박계가 수적 우위의 기득권을 가지고 당권을 쥐었다”며 “역풍 가능성이 크다”고 비판했다. 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은 “분당의 키는 유 전 원내대표”라며 “여권 비대위원장 선출이 1차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11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비상시국회의에서 유승민 의원과 이군현 의원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사진=아주경제 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