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영관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전력의 공급과 수요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스마트에너지 아파트' 구축을 본격화하고 있다.
LH는 지난 14일 경기도 성남시 LH 경기지역본부에서 '스마트에너지 아파트' 구축을 위해 산·학·연·관이 함께 하는 'ESS & 에너지 IoT 기술 공유 컨퍼런스 및 중소기업 동반성장 협약식'를 개최하였다.
컨퍼런스에서는 국내 최초로 비상발전기를 대체하기 위한 LH의 ESS 적용사례(용인서천 2단지)를 발표하고, 'ESS의 시장 전망과 정부정책'을 비롯해 '국제표준 IoT 기술 및 발전 전망', 'ESS의 표준화 및 경제성' 등에 대해 소개됐다.
이 날 행사에 참석한 산업통상자원부 주영준 국장은 에너지 IoT와 ESS 등의 융합을 통해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클린에너지가 적용된 스마트홈' 확산을 위해 관계기관과 협의해 다양한 지원정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특히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공장․상업시설에 ESS 활용시 전기요금 절감 인센티브(ESS특례요금제로 전기 기본요금 할인 3배 확대 등) 지원을 발표한 바 있으며, 향후 공동주택에도 ESS 활용시 전기요금 인하방안을 검토예정이라고 언급했다.
LH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향후 관련기술 도입을 위한 문제점 및 제도개선을 위한 논의의 장이 됐다"면서 "공공과 민간, 대·중소기업이 참여하는 'ESS 및 에너지 IoT' 사업이 건설기술 발전에 마중물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스마트에너지 분야에서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와 맞춤형 기술개발에 협력하는 '공공·대기업·중소기업의 동반성장 협약식'도 가졌다. 참여기업은 LH의 동반성장 지원 중소기업과 LG전자의 협력업체인 다원DNS, 서준전기, 오릴엔탈드림, 오성전자, 옴니시스템, 한에너지시스템, 힘펠, 텔트론 8개 업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