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원승일 기자 =대한민국 인구가 2065년에는 1990년 수준인 4300만명으로 쪼그라든다.
생산가능인구(15∼64세)도 2020년대부터 매년 30만명 이상씩 줄어 2065년에는 2000만명에 그칠 전망이다. 다만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내년 708만명으로 유소년 인구를 처음으로 추월해 2065년 1827만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2065년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총인구는 지난해 5101만명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다 2031년 5296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전환한다.
이어 2045년에는 5105만명으로 지난해 수준으로 회귀하고, 2055년 4743만명, 2065년 4302만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로 인해 인구성장률은 지난해 0.53%에서 감소, 2032년부터 인구가 줄어드는 마이너스 성장을 시작해 2065년에는 –1.03%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아이 울음소리도 줄어든다. 출생아수는 지난해 43만명에서 2035년 36만명, 2065년에는 26만명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사망자수는 지난해 28만명에서 2028년 40만명을 넘어선 뒤 2065년에는 74만명으로 2015년보다 2.7배 많아질 전망이다. 아울러 2029년부터는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초과하는 자연감소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아이들 수는 줄고, 노인 수는 점차 많아진다.
유소년인구(0∼14세)는 지난해 전체 인구의 13.8%인 703만명에서 2065년 413만명(9.6%)까지 감소한다.
6∼21세 학령인구도 초·중·고와 대학교 연령대에서 모두 줄어들 전망이다. 학령인구는 지난해 892만명에서 2065년 459만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저출산 여파로 향후 10년간 184만명 급감할 것이란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반면 고령인구는 같은 기간 654만명(12.8%)에서 1827만명(42.5%)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특히 내년 고령인구는 708만명으로 유소년인구(675만명)를 처음 추월하게 된다.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올해 3763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내년부터 감소해 2065년 2062만명까지 줄어든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지난 2011년에 이어 5년만에 인구추계를 한 결과, 출생아 수는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반면 기대수명 증가 속도는 빨라져 노인 수가 증가하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주요 경제활동인구인 25∼49세 비중이 줄고 있다는 점은 생산성을 약화시킬 수 있어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한편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할 유소년·고령인구를 뜻하는 총부양비는 계속 높아질 전망이다.
총부양비는 지난해 36.2명에서 2027년 50.9명, 2032년 60.1명으로 오르다 2065년에 108.7명으로 급증할 전망이다. 한국의 총부양비 수준은 지난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에서 2065년에는 1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