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국내 은행들이 자기자본 관리 등 건정성 유지에 유념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은행연합회와 한국금융연구원, 국젝금융센터는 5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미 신정부 출범 이후 은행산업 전망과 리스크 요인 점검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 글로벌 경제 및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은행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리스크 요인 등을 살펴보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어 그는 "국내 은행에 대한 영향으로는 금리 급등 가능성이 핵심적 리스크"라며 "이에 따른 저소득층·다중채무자·한계기업의 상환능력 악화 등에 대응해 자기자본 관리 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서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은행 대출금리 상승은 주로 시장 조달금리 변동에 기인했으며 국내 은행의 대출 금리는 국제 비교 시 높은 편으로 볼 수 없다"며 "가산금리 상승이 반드시 이익 증가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은행 수익원 다각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재문 은행연합회 전무이사도 개회사에서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금리가 급등할 가능성이 높고 그럴 경우 취약·한계계층의 상환능력이 악화될 것으로 우려된다"면서 "자본 확충 등을 통한 건전성 유지가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김동완 국제금융센터 금융시장실장은 '미 대선 이후 해외시장 동향 및 향후전망'이라는 주제발표에서 "미 대선 이후 글로벌 금융시장은 미 경제정책의 불확실성에 따라 변동성이 크게 확대된 후 다소 완화되는 추세"라고 진단했다.
이어 "그러나 미국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의 금리인상 가능성, 달러화 강세, 보호무역주의 등으로 신흥국들은 대미 리스크에 노출되고 불안이 가중될 것이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