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올해 총수입 55조원…총괄원가 51조

2016-12-02 15:20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한국전력의 총수입이 55조49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총괄원가는 50조9916억원이다.

한전은 2일 홈페이지를 통해 올해 총괄원가와 총수입(이상 예산 기준) 등 전기요금 원가정보를 공개했다. 국내 전기요금은 구입전력비(연료비 포함), 인건비, 법인세 비용 등 적정 원가에 일정 수준의 적정이윤(적정투자보수)을 더한 총괄원가 방식으로 산정된다.

올해 총괄원가는 지난해 50조8552억원(서울 사옥 매각 이익 10조원 제외)보다 조금 늘었다. 총괄원가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구입전력비는 올해 42조2506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몇 년간 저유가 기조가 이어진 탓에 구입전력비는 2014년 47조46억원(이하 결산 기준)에 이어 지난해 43조4242억원으로 계속 줄어들고 있다.

올해 총괄원가 산정 기준은 유가(배럴당) 41달러, LNG(t당) 59만7000원, 원/달러 환율 1155원이다. 2014년 적용 기준은 유가 104달러, LNG 105만원, 환율 1035원이었다.
 
올해 구입전력비를 포함한 영업비용은 50조1732억원(이하 예산 기준)이었다. 적용단가는 올해 ㎾h당 111.34원으로 나타났다. 적용단가는 판매수입을 판매전력량으로 단순하게 나눈 평균 단가를 말한다. 한전은 이 단가를 토대로 주택용, 산업용 등 용도별 전기요금을 매긴다.

한전이 총괄원가를 공개한 것은 2014년 이후 처음이다. 다만 한전은 이번에도 용도별 전기요금의 원가는 공개하지 않았다.

용도별 전기요금 산정에는 설비같은 공급비용, 수익 등 다양한 요소가 고려되기 때문에 적용단가 규모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 때문에 송·배전 등 설비 관련 비용이 더 들어가는 주택용이 산업용보다 대개 더 비싸다.

올해 주택용 판매단가는 ㎾h당 평균 130원이며 산업용은 ㎾h당 평균 107원 선이다. 현재 주택용 6단계 누진요금 체계(주택용 저압 전력 기준)는 1단계(사용량 100㎾ 이하, ㎾h당 60.7원), 2단계(101~200㎾, 125.9원), 3단계(201~300㎾, 187.9원), 4단계(301~400㎾, 280.6원), 5단계(401~500㎾, 417.7원), 6단계(501㎾ 이상, 709.5원)로 구분된다.

산업용의 경우 계약전력 300㎾ 이상 '을'의 경부하 요금의 경우 ㎾h당 60원 내외다.

정부는 현재 6단계-11.7배수로 설계된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를 3단계-3배수로 개편하는 안을 추진하고 있다. 가장 유력한 '절충안'은 1구간 200㎾h 이하(㎾h당 93.3원), 2구간 201~400㎾h(㎾h당 187.9원), 3구간 400㎾h 초과(㎾h당 280.6원)로 구성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