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사장은 2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사무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개인적인 의견임을 전제로 “빅2 체제가 중국 등과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는 데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현재 상황에서는 ‘빅3’ 체제를 유지하면서 대우조선해양을 내실 있는 회사로 탈바꿈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사장은 “정부가 대우조선을 정리하지 않고 빅3 체제를 유지하기로 한 데 대해 ‘알맹이가 없다’, ‘다음 정권으로 넘겼다’, ‘뒷북 정책’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것은 결국 빅2로 가야된다는 전제조건이 달려 있는 얘기”라면서 “모두 현실성이 없는 주장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특히 정 사장은 컨설팅업체인 맥킨지가 대우조선의 독자 생존이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는 보도와 관련해서는 “맥킨지는 대우조선의 자구계획을 전혀 반영하지 않고 과거 실적만으로 미래를 예측하는 오류를 범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회사 정상화 이후 새 주인을 찾아주는 것에 대해서는 당연히 동의하지만 여전히 경쟁력을 갖춘 대우조선을 지금 당장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역설했다.
정 사장은 “대우조선을 폐쇄하는 데 50조원 이상의 비용이 들어가는데 지금처럼 4조원 투입해서 정상화시킨다면 (후자가) 더 경제적인 방법”이라고도 했다.
그는 대우조선 정상화 방안으로 타사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수주잔량(350억 달러 규모)을 바탕으로 내년부터는 LNG선 등 해양생산 설비에 주력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세부 자구계획 기본 방침으로는 △불필요한 부동산·자회사 등 모든 물적 자원 매각 △저비용·고효율 생산 구조 위한 인적 개혁 단행 △핵심 역량 위주의 수주 및 건조 통한 생산단가 인하를 제시했다.
대우조선은 현재까지 추진 중인 5조3000억원 규모 자구계획 중 11월 현재 1조5000억원 가량을 달성한 상태다.
정 사장은 자구안 규모를 총 6조원 규모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도 밝혔다. 7000억원은 경남 거제 사원용 아파트를 매각해 3000억원을 추가로 마련하고 인도가 취소된 벤티지 프로젝트를 조기 매각해 유동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그는 “지난 9월 말 기준 1만2600명의 인원을 연내 1만명 이하로, 2017년 8500명, 2018년 8000명 이하로 축소하기 위해 현재까지 1500여명 희망퇴직을 완료했다”면서 “2018년까지 연매출은 지금의 50% 수준인 연 7조원대로 낮춰 선박 4조원, 해양 2조원, 특수선 1조원의 최적화된 사업구조 갖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정 사장은 내년 만기가 돌아오는 9400억원 규모의 회사채 등 유동성 우려와 관련해 “추가 자구안 실행에도 불구하고 시장 상황이 좋지 않아 절대적인 수주 자체가 늘지 않을 경우, 상당한 유동성 압박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털어놨다.
이어 “적어도 내년 수주가 50억~60억 달러 이상 되지 않으면 회사채 상환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으리라 예상한다”면서도 “나름 회사에서 여러 방안을 강구하면 충분히 넘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소난골 드릴십 인도 지연에 대해서는 “조만간 해결되리라 생각한다”며 원론적인 답변을 반복했다.
정 사장은 특수선 사업 분사와 관련, “물적 분할 작업을 하고 있는데 여러 행정적 제약조건들이 발견되고 있어 시간이 걸리고 있다”면서 “방산부문은 기업공개 이후 일부 지분 상장을 통한 자금 조달이 목적일 뿐이지 완전 매각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못 박았다.
그는 “희망퇴직으로 회사를 떠나는 동료들에게 회사가 어느 정도 정상화 길에 들어섰다고 판단되면 저도 물러나겠다고 약속했다”면서 “무거운 사명감과 함께 마지막 생존의 기회로 삼고 있다. 뼈를 깎는 자구안 실행으로 국민들 기대에 부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