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향 딸기' 기형 열매 발생원인 찾았다

2016-10-23 10:08
  • 글자크기 설정

- 충남도 농업기술원 “영양·일조량 부족하고, 병해충 발병 시 발생”

▲(매향 딸기 기형과 모양)[사진제공=충남농기원]


아주경제 허희만 기자 =맛과 향이 우수해 동남아 시장 등에서 각광 받고 있는 수출용 국산 딸기 품종인 ‘매향’의 기형 열매 발생 원인이 구명됐다.

 23일 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매향은 겨울철 ‘2화방’에서의 수정 불량으로 인한 기형 열매 발생이 많아 재배 농가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도 농업기술원은 매향 딸기의 기형 열매 발생 원인을 찾기 위해 식물체 영양과 일조, 병해충 등으로 구분해 재배 현장에서 연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를 구체적으로 보면, 매향 딸기는 칼슘 결핍과 뿌리 활착 불량, 착과 부담에 의한 양분 부족 시 2화방 꽃가루량이 감소하며 기형 열매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꽃가루량은 저온의 영향보다 일조량이 100w/㎡ 이하로 떨어질 때 크게 감소했으며, 특히 2화방의 꽃가루량이 가장 낮았다.

 또 식물체 생육 증진을 위해 꽃수를 8개로 제한해 착과 부담을 줄여 재배한 결과, 기형 열매가 8% 감소하고 수량은 8.5% 증가했다.

 이와 함께 딸기 정식 전 자묘를 10℃에서 13일 동안 저온 처리해 재배할 경우, 저온처리를 하지 않은 자묘보다 꽃 피는 시기가 8일 가량 빨랐으며, 기형 열매는 5.3% 감소하고, 상품 수량은 8% 느는 것으로 확인됐다.

 병해충의 경우, 꽃곰팡이병이 발생한 꽃은 70% 이상, 잎선충은 100% 기형 열매가 발생했다.

 약제 처리 시간에 의한 기형 열매 발생은 오전 9시와 낮 12시가 오후보다 더 많이 발생했고, 꽃잎이 30% 벌어진 시기에 약제(유황, 크렉속심메칠) 살포 시 60% 이상 기형 열매가 발생했다.

 도 농업기술원 논산딸기시험장 김현숙 연구사는 “이번 연구 결과를 볼 때, 매향 딸기의 기형 열매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영양을 꾸준히 유지시키고, 적기 병해충 방제와 빛 확보를 위한 시설 관리에 주의가 필요하다”며 “앞으로 보광 처리 방법과 수정률 향상을 위한 연구를 추진, 기형 열매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