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20일 10개 업체로 출범한 한국주택임대관리협회는 이달 기준 회원사를 19개까지 늘렸다.
협회 19개 회원사가 관리하는 임대주택은 아직까지 6700여가구 규모에 그치지만, 최근 빠르게 추진되고 있는 뉴스테이(기업형임대주택) 등 임대주택 확대와 맞물려 관리가구는 향후 1~2년 새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게 업계의 전망이다.
특히 최근 국내 주택시장에서 월세비중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로 볼 때, 주택 유지보수와 임차인 관리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주택임대관리업의 중요성과 성장가능성이 부각되면서 대기업과 외국기업은 물론, 빌딩관리업체 등까지 발을 뻗고 있는 상황이다.
그간 협회는 자기관리형 임대관리업 활성화의 발목을 잡고 있는 보증보험제도 개선을 위해 국토부와 긴밀히 협의, 기존 의무사항이던 보증보험을 선택사항으로 완화하는 성과를 거뒀다.
임대관리업 등록기준도 위탁관리형의 경우 100가구 이상, 자본금 1억원 이상, 자기관리형은 100가구 이상, 자본금 1억5000만원 이상으로 크게 낮췄다.
이와 함께 협회는 주택임대관리업 미등록 업체가 무분별하게 난립하는 상황에서 계도 및 단속 활동을 벌여 미등록 업체와 유사명칭 사용 업체 등을 고발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같은 주택임대관리협회의 질적·양적 성장에도 국토부는 정확한 업계 규모조차 파악하지 못한 채 혼란을 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토부는 지난 3월 공식 등록된 주택임대관리업체가 180개, 관리실적은 2만7134가구로 집계됐다고 발표했으나, 현재 관련 자료 오류에 따라 이를 바로잡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주택임대관리협회가 출범한지 1년, 공식 설립허가를 받은지 10개월이 지났지만, 주무부처인 국토부가 업계 규모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지자체에서 관련 통계를 늦게 보내거나, 업무에 혼선이 발생하는 등 문제로 자료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이를 다시 정리하는 작업을 진행 중에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