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위기' 대우조선 법정관리 여부 6개월 내 결판

2016-10-16 14:58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 대우조선해양이 생존하기 위해 스스로 확보해야 하는 자금이 1년 새 1조8500억원에서 7조3000억원으로 급증했다. 내년 4월부터 순차적으로 도래하는 회사채 만기를 막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6개월 남짓이다.

16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채권단은 대우조선의 자구계획이 미진하면 청산까지 고려하겠다는 입장이다. 자산 매각과 인력 감축 등 자구계획을 통해 자금을 얼마나 확보하는지가 대우조선의 생사를 가를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당국은 올해 대우조선의 연간 수주가 35억 달러에 못 미치면 2조원 규모의 추가 자구계획(비상게획)을 발동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대우조선의 수주액은 13억 달러 수준이다.

문제는 대우조선의 유동성 확보 계획이 차질을 빚고 있다는 점이다. 대우조선은 지난 6월 확정한 5조3000억원 규모의 자구안 가운데 지난 8월 기준 9842억원을 마련해 이행률이 18.6%에 불과하다.

이런 상황에서 대우조선은 이달 내 사옥 매각 작업을 마무리하고, 연말까지 전체 직원을 1만명 밑으로 줄인다는 계획이다.

금융당국과 채권단은 대우조선이 내년 4월까지 유동성 위기를 겪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아직 채권단 지원금액 1조원이 집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 컨설팅 회사 맥킨지가 조선업 구조조정을 위한 컨설팅 보고서(초안)에서 대우조선의 독자 생존이 어렵다는 결과를 담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대우조선은 궁지에 몰렸다.

금융당국과 채권단은 해당 보고서를 '참고'로만 활용하겠다는 동시에, 대우조선의 자구계획 이행을 더 철저히 관리하겠다며 배수진을 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대우조선이 법정관리에 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지만, 자구계획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으면 청산도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