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이사장은 13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외부에서 왔다는 의미로 낙하산이라고 한다면 맞지만, 전문성이 없다거나 절차상의 문제 때문에 낙하산이라고 한다면 동의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번 이사장 선정과정은 자본시장법과 정관에 따라 투명하게 진행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거래소와 자본시장 발전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후보 심사 기간이 지나치게 짧았고,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재직할 때 전에 몸담았던 한국금융연구원에 70% 이상 연구용역을 몰아주는 등 문제점이 한두 개가 아니다"라는 지적에는 "억울한 부분이 있다"고 답했다.
한국거래소 노조는 정 이사장이 대통령직인수위에서 활동했고 자본시장 경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를 들어 선임 단계부터 '낙하산 인사'로 규정지었고, 지난 4일로 계획됐던 취임식은 노조원들의 출근 저지로 하루 미뤄지기도 했다.
정 이사장은 한국거래소의 지주회사 전환·상장과 관련해 "제가 금융위 부위원장으로 있을 때 관련 법 개정을 추진하기도 했다"며 "정부와 잘 협의해 진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 이사장은 주주나 투자자의 문의를 조회공시 요구로 활용하는 방안에는 "전면적 도입은 어렵겠지만 검토해 보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