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사상 초유의 파행 정국에서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의 리더십이 주목받고 있다. 박 위원장이 다음 달 초 비대위 체제를 끝내겠다는 의사를 밝힌 데다, 파행 정국의 중재안이 받아들여지면서 당 내외 둘러싸인 난국을 정면 돌파로 맞섰기 때문이다.
박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총에서 비대위 체제와 관련해 “10월 초 비대위원장을 새로 선임하는 문제를 논의하고 12월 내 전당대회를 하겠다”고 공언했다. 박 위원장은 사퇴 데드라인은 취임 100일을 맞는 오는 10월 6일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4·13 총선 뒤 국민의당이 ‘홍보비 리베이트’ 의혹에 휩싸이자, 당의 구원투수로 등판했다.
이런 가운데 박 위원장은 이날 의총 모두발언에서 여야 3당 원내지도부가 국회 정상화에 의견일치를 봤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세균 국회의장이 전날(27일)까지 강경한 입장을 밝혀 온전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박 위원장은 의총에서 “어제 주도적으로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만났고, 그 후에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를 만났다”며 “오전부터 오후까지 노력한 결과 의견의 일치를 봤지만, 정 의장이 그 내용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새누리당이 정 의장 향해 사퇴를 촉구한 데 대해 “국회의장과 새누리당과의 관계는 관계고, 국감은 제대로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의 비공식 단식은 그대로 둔 채 우선 국감의 정상화를 위해서 노력하자고 했다”고 전했다.
박 위원장은 “국회의장의 입장 표명을 바랬지만 의장도 굉장히 강경해서 어제까지는 풀어내지 못했다”면서도 “오늘 다시 한 번 접촉해서 오늘까지 꼭 풀어야 한다. 월화에 국감을 하지 못한 부처에 대해서는 본회의 의결 없이 국감이 비어있는 수요일에 2곳을 넣어서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국민의당 의원들은 정상적인 국감을 원하고 있으나, 사상 초유로 여당이 보이콧해서 이뤄지지 않는 것은 참으로 한국적인 현상이라고 생각한다”며 “청와대 입장에서는 이번 국감을 방해해 국민 모두가 알고 싶어 하는 최순실 게이트 등을 이정현 비공개 단식 블랙홀로 일거에 덮어버렸다. 단식은 단식이고, 국감은 국감”이라고 밝혔다.
기류는 급변했다. 이날 오전까지 완강했던 새누리당은 오후 들어 국감 정상화의 뜻을 밝혔다.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는 국회 본청 앞에서 열린 ‘정세균 사퇴 관철을 위한 새누리당 당원 규탄 결의대회’에서 “(내일부터) 국감에 임해 달라. 제가 끝까지 남아서 계속 단식하겠다”고 당 소속 의원들에게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