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우리은행은 민영화가 끝이 아니다. 국민들의 세금으로 우리은행을 살린 만큼 뛰어난 지배구조를 형성해 국내 금융산업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곽범국 예금보험공사 사장이 최근 진행 중인 우리은행 매각과 관련해 단순히 민영화에만 그쳐서는 안 된다는 뜻을 밝혔다.
2010년부터 실패를 거듭해 온 우리은행 민영화는 지난달 22일 정부의 매각 방안 발표 이후 24일 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의 매각 공고를 시작으로 재개됐다. 이번 매각은 예보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 48.09% 가운데 30%를 4~8%씩 쪼개 파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오는 23일까지 투자의향서(LOI)를 접수한다.
현재 보험사를 비롯해 증권사, 일반 기업과 국내외 사모펀드(PEF) 등이 관심을 가진 것으로 알려지면서 민영화 성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상황이다.
그러나 곽 사장은 우리은행 매각이 마무리될 때까지 "겸허해야 한다"며 긴장을 늦춰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까지의 상황을 보면 성공을 기대하고 있지만 실제 본입찰로 이어질지는 두고봐야 한다"며 "결과를 예단하기 어려운 만큼 유효 수요가 실제 투자로 이어지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예보는 '우리은행 매각추진단'을 별도로 설치하는 한편 JP모건, 미래에셋대우, 삼성증권 등의 매각주관사를 비롯해 법률·회계 자문사들과의 정례 회의를 통해 투자자들의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있다.
우리은행 매각추진단은 예보의 정리 및 매각 관련 역량이 총 집중된 조직이다. 예보 부사장이 업무를 총괄해 금융정리부가 매각 업무를 담당한다. 법무, 대외업무, 홍보 담당 부서가 관련 업무 지원에 나서며 과거 매각 경험이 있는 부서장을 비롯한 팀장들이 주요 현안에 대한 자문 역할을 맡는다.
이밖에 투자자들의 문의사항에 대한 원활한 답변 등을 위해 매각지원 태스크포스(TF)도 신설할 예정이다. 투자 수요 발굴을 비롯한 관리가 이번 매각 성공의 핵심이라는 판단에 따른 조치다.
곽 사장은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된 우리은행 지분 매각을 실패로 단정지어선 안 된다는 입장도 밝혔다.
그는 "정부가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매각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아 지금까지 실패를 거듭했다는 데 동의하지 않는다"며 "민영화가 지연된 것은 시장 상황이 여의치 않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공적자금위원회 과장으로 일할 당시에도 10조원 이상되는 물건(우리금융그룹)을 누가 사겠냐는 의구심이 있었다"라며 "과거에는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라는 원칙에 따라 프리미엄 부분에 대해 많이 노력했지만 실제 딜이 성사되지 않아 새로운 대안을 시도하는 것이다. 그동안 했던 실험들에 대해 실패라고 평가해선 안 된다"고 덧붙였다.
우리은행 민영화는 곽 사장 개인적으로도 특별하다. 곽 사장은 2004년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사무국 의사총괄과장으로 근무하면서 공적자금 지원 및 회수, 상환 업무를 담당했다.
그는 "당시 우리은행 지분 매각 첫 딜을 담당했었는데 예보 사장으로 취임해 임기 내에 민영화로 이어진다면 개인적으론 영광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