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양성모 기자 = 선박평형수 관리협약이 내년 9월 공식 발효를 앞두면서 국내 조선 및 기자재업체들의 수혜가 기대된다.
11일 조선업계와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 8일(현지시간) 핀란드가 국제해사기구(IMO)에 선박평형수관리협약 비준서를 기탁하면서 발효요건이 충족돼 1년이 지난 내년 9월부터 협약은 강제적으로 시행된다.
조선업계와 기자재 업계는 이번 협약 발효로 수혜를 기대하고 있다. 우선 법이 발효되면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시장은 4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초 김성태 한국선박평형수협회장(테크로스 전무)은 아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선박평형수 처리 산업은 차세대 먹거리이자 창조경제 산업”이라며 “40조원의 시장이 열릴 것으로 전망되며 시장의 50%를 차지중인 국내 기업들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말한 바 있다.
선박평형수 관리협약은 기자재 뿐 아니라 조선업계에 수혜로 이어질 전망이다. 특히 현재 운항중인 선박에도 처리설비의 장착이 의무화 되는 만큼 경제성이 떨어지는 곧 노후선박의 폐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주요 규제는 CO2(이산화탄소)와 SOx(유황산화물), NOx(질소산화물)의 저감이다. 이들 규제를 모두 충족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장치의 도입보다 노후선박의 경우는 해체한 뒤 새로 배를 짓는 편이 오히려 경제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이경자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협약으로 선령 20년 이상 선박은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장착을 위한 개조보다 신조가 경제적으로 나은 선택일 수 있다”며 “특히 20년 연령 선박은 추가 설비 장착과 개조, 혹은 페널티와 높은 운영경비 지출보다 신조가 낫다”고 말했다. 이어 이 연구원은 “해체선령은 기존 평균 30년에서 경제성이 상실되는 20년 연령을 기점으로 단축될 수 있다”며 “30년 이상 선령에도 운항중인 선박들의 폐선이 불가피해진다”고 말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현재 글로벌 경기둔화와 이로 인한 해운시장 경색으로 발주량이 급감한 상황에서 이번 선박평형수 법안의 발효는 노후선박의 폐선을 앞당길 수 있다”면서 “국내 조선업계에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호재로 바라보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