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문은주 기자 = 터키 내 군사 쿠데타가 일어난 지 한 달이 지났다. 쿠데타 실패를 계기로 터키 정부가 대규모 숙청 작업을 강화하면서 동맹국과의 관계에도 갈등이 번지고 있다고 BBC 등 외신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터키 정부는 쿠데타 이후 군인 2만 명 이상을 체포·구속하는 한편 다른 국가로 달아난 해외 파견 공무원들을 체포하는 작업에 돌입했다. 특히 군사 쿠데타의 배후로 재미 이슬람학자 펫훌라흐 귈렌을 지목, 미국에 신병 인도를 요청했지만 미국이 귈렌의 관여 여부를 부정하면서 송환을 거부하고 있어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거듭된 숙청 작업으로 국제사회의 시선도 싸늘하다. 터키 정부는 정부에 강한 권한을 부여하는 국가 비상사태를 선언, 공무원 8만 여명을 해고하거나 정직 처분했다. 대학 등의 교육 기관과 방송사 신문사 등 130여개의 미디어를 폐쇄했다.
이에 따라 언론의 자유가 더욱 좁혀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확산되고 있다. 국제언론인단체인 '국경없는 기자회'가 올해 4월 발표한 언론 자유도 순위에서 터키는 180개국 중 151위에 올라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그동안 다수 유럽연합(EU) 회원국이 △ 유럽 난민 수용 문제 △ 자국 인권 탄압 △ 언론 통제 등을 이유로 터키의 EU 가입을 반대했던 만큼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하다.
쿠데타 이후 대외 관계에 빨간불이 켜지자 터키 정부는 부랴부랴 다른 국가에 눈을 돌리고 있다. 일단 지난 9일에는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8개월 여만에 정상회담을 갖고 상호 관계 개선에 나서기로 했다. 두 나라 간 관계 회복이 서로에게 이익이 된다는 양국 지도부의 판단에 따른 조치로 보인다.
이란과도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동안 터키는 이란의 풍부한 에너지 자원에 의지해왔고 이란은 서방의 제재를 받을 당시 터키의 도움으로 간접 무역을 이어왔다. 지난 12일 터키를 방문한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쿠데타를 무산시킨 에르도안 정권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혀 양국간 관계를 과시했다.
지난달 15일(현지시간) 반정부 군부 조직이 터키 수도 앙카라와 최대 도시 이스탄불의 주요 국가시설들을 장악하고 상황을 통제하면서 쿠데타를 시도했다. 그러나 터키 군중이 쿠데타 세력에 반대하고 나선 데다 친(親)정부 세력이 상황을 장악하면서 쿠데타 시도가 실패로 끝났다. 이 과정에서 시민을 포함한 240명이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