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매각… 당국보다 예보 의지에 달렸다

2016-07-11 18:00
  • 글자크기 설정

공적자금 회수 일부 손실 감수해야 매각 가능성 ↑

[사진=우리은행 제공]

아주경제 홍성환 기자 = 금융당국이 우리은행 매각에 속도를 내고 있다. 우리은행 역시 이번이 민영화를 이룰 수 있는 적기로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금융권 안팎에서는 우리은행의 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가 진정으로 매각 의지를 갖고 있는 지 의구심이 많다. 지분 매각 작업을 빠르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투입한 공적자금의 손실을 일부 감수해야 하는데 예보 측에서 이를 부담스럽게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현재 우리은행 지분 매각을 위한 시장 수요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수요조사가 끝나고 공청회를 거쳐 이르면 오는 8~9월 매각 공고가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예보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 51% 가운데 30~40%를 4~10%씩 쪼개 파는 과점주주 매각방식을 추진하고 있다.

문제는 손실을 얼마나 감수할 것인지에 대한 예보의 판단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01년 우리은행에 공적자금을 12조원 넘게 투입했다. 이후 현재까지 8조원가량을 회수한 상태다. 남은 공적자금 4조원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주당 1만3000원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 예보 측 입장이다.

다만 현실적으로 이 수준까지 주가가 올라가려면 상당 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월 우리은행 매각이 가시화되면서 주가가 1만800원까지 올랐지만 이후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등의 악재가 터지며 다시 1만원선 아래로 떨어진 상태다. 특히 최근 몇 년간 1만원 내외에서 주가가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결국 투입한 공적자금을 모두 회수하려는 목표를 낮추지 않는 이상 우리은행 지분을 매각하는 것이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예보 측에서는 여전히 공적자금 최대 회수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윤창현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민간 위원장이 최근 유상증자를 거론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매각은 시장가격을 기준으로 하지만 매각 후 과점 투자자가 증자와 경영 참여 등을 통해 우리은행의 가치를 올리고 나머지 지분을 팔아 공적자금을 회수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금융권 관계자는 "예보 입장에서는 공적자금을 적게 회수했을 때 발생한 후폭풍에 대한 우려로 매각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며 "결국 우리은행 지분 매각은 금융당국이나 우리은행의 의지가 아닌 예보 손에 달려 있는 형국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예보가 계속 공적자금 최대 회수에 욕심을 두면 지분 매각은 영원히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금융권에서는 이번 매각 시도가 사실상 이번 정권에서의 마지막 기회로 보고 있다. 내년으로 넘어가면 대선으로 인해 당분간 매각 작업에 차질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한편, 이런 예보의 행보에도 불구하고 우리은행 내부에서는 민영화를 위해 자사주를 매입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우리은행 사주조합은 지난 5일부터 사흘간 자사주 매입 신청을 받았다. 우리은행 직원들이 자사주 매입에 나선 것은 2014년 12월, 2015년 7월에 이어 세 번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