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내정자는 이날 오후 서울 연세대 동문회관에서 열린 아태정책연구원 주최 외교안보정책포럼에서 이같이 밝히고 박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하면 "한일 양국의 관계 증진을 위해서 매우 소중한 기회를 제공해 주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내정자는 또 "양국이 박 대통령의 방일 자체를 좋은 기회로 삼아서, 한일 관계의 개선 내지 발전에 획기적 계기가 되도록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의 참석 여부와 한일 정상회담 개최 여부는 청와대에서 공식 발표하지 않은 사안이다.
3국 정상회의가 일본에서 열리면 회의 참석을 계기로 자연스럽게 박근혜 대통령의 2013년 취임 후 첫 일본 방문이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내정자의 발언과 관련해 외교부 당국자는 "금년도 3국 정상회의는 의장국인 일본에서 개최될 차례로 구체적인 사항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관련 언급은 한중일 3국 간 협의를 통해 3국 정상회의가 개최된다면 박 대통령이 이 회의 참석을 위해 일본을 방문하게 될 것이라는 원론적인 견해를 표명한 것으로 본다"고 해명했다.
한편, 이 내정자는 한일관계와 관련해 "바람직한 관계까지 발전해 나가는데는 아직도 갈 길이 굉장히 멀다"며 "위안부 합의를 합의 정신에 따라서 철저하게 이행해 나가면서 관계 복구를 위해서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부비트랩'이 터질 때 어떻게 후유증을 최소화하고 관계 정상화 노력의 큰 흐름을 유지해 갈 것인가가 매우 중요하다"며 "우선적인 것은 손상돼온 대화의 채널을 복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 외교부, (일본) 외무성 간의 채널은 물론 정부 각 부처의 대화 채널이 조속한 시일 내에 옛날 수준으로 복구돼야 한다"고 말했다.
주뉴질랜드 대사, 주인도 대사 등을 역임한 이 내정자는 유흥수 주일대사의 후임으로 내정됐다. 그는 일본 측의 아그레망(주재국의 임명 동의) 동의가 나오는 대로 공식 임명절차를 거쳐 다음 주께 현지에 부임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