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백현철 기자 = 저금리 영향으로 주택 분양시장이 개선되면서 대형 건설사들의 올 2분기(4~6월) 실적이 전년보다 개선될 것이란 전망이다.
2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3곳 이상이 3개월 내 실적 추정치를 내놓은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 건설사 6곳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 합계는 6756억원으로 집계됐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 실적(5799억원)보다 16.5% 증가한 수준이다.
전체 6개 건설사의 영업이익 추정치가 모두 증가한 가운데 삼성엔지니어링의 개선세가 가장 뚜렷할 것으로 전망됐다.
삼성엔지니어링의 올 2분기 영업이익은 428억원으로 작년 동기(194억원)보다 120.9%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작년 3분기에 1조5000억원이 넘는 대규모 적자를 기록한 이후 4분기부터 매 분기 영업이익이 증가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와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삼성그룹 차원의 공사 물량이 늘어난 데다 작년 실적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대림산업은 올 2분기 영업이익이 1028억원으로 작년 동기(631억원) 대비 63%가량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GS건설은 23.20% 늘어난 470억원, 현대산업개발은 14% 증가한 1148억원, 현대건설은 3.66% 많아진 2636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2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3곳 이상이 3개월 내 실적 추정치를 내놓은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 건설사 6곳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 합계는 6756억원으로 집계됐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 실적(5799억원)보다 16.5% 증가한 수준이다.
전체 6개 건설사의 영업이익 추정치가 모두 증가한 가운데 삼성엔지니어링의 개선세가 가장 뚜렷할 것으로 전망됐다.
삼성엔지니어링의 올 2분기 영업이익은 428억원으로 작년 동기(194억원)보다 120.9%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작년 3분기에 1조5000억원이 넘는 대규모 적자를 기록한 이후 4분기부터 매 분기 영업이익이 증가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와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삼성그룹 차원의 공사 물량이 늘어난 데다 작년 실적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대림산업은 올 2분기 영업이익이 1028억원으로 작년 동기(631억원) 대비 63%가량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GS건설은 23.20% 늘어난 470억원, 현대산업개발은 14% 증가한 1148억원, 현대건설은 3.66% 많아진 2636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