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6/22/20160622114609853787.jpg)
황교안 국무총리가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신공항 후속조치 논의 관계장관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하고 있다.[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
황 총리는 또 "정부는 이번 용역이 절차와 내용면에서 모두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엄정하게 그 절차를 지켜왔다"며 "지난해 1월 영남 지역 5개 지방자치단체는 입지 평가에 관한 모든 사항을 외국 전문기관에 일임하고 결과를 수용한다는 합의를 도출했다"고 설명했다.
황 총리는 "김해 신공항은 기존 김해공항을 보강하는 게 아니라 영남권 항공수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영남권의 거점신공항을 만들어 나가는 방안"이라며 "정부는 활주로·터미널 등 공항시설을 대폭 신설하고, 철도·도로 등 공항으로의 접근 교통망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등 영남권 전역에서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영남지역 지자체와 주민들도 아쉬움이 있겠지만, 관련 지자체들이 합의한 방식에 따라 충분한 검토를 거쳐 최종 결과가 나온 만큼 대승적 차원에서 결과를 수용해줄 것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황 총리는 "정부는 김해 신공항 건설을 신속하게 추진해 나가겠다"며 "올해 하반기에 곧바로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하고, 내년 중 공항개발기본계획 수립에 본격 착수해 2021년 착공, 2026년 개항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