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온유 기자 = 우울증에 걸리면 자살 생각이 드는 원인이 밝혀졌다.
삼성서울병원 전홍진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우울증이 오면 '뇌유래신경영양인자'가 저하돼 뇌 신경의 연결성을 떨어뜨리고, 이중 전두엽과 변연계의 연결성 저하로 자살 생각이 난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1년부터 5년간 '자살 생각이 있는 우울증과 없는 우울증 환자에서 뇌 영상과 뇌유래신경영양인자'를 분석했다.
분석에 따르면 우울증에서는 전체적으로 뇌 기능이 저하되는데 특히 전두엽과 변연계 기능이 낮아졌다.
전두엽은 판단·사고·억제 등 고차원적 뇌기능을, 변연계는 기본적인 본능과 충동·수면·섭식 등을 담당한다.
자살을 생각하면 변연계가 흥분하고, 이때 전두엽이 변연계를 통제해야 하는데 우울증으로 인한 기능 저하로 충동을 제대로 억제하지 못하는 것이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뇌 백질 연결성을 볼 수 있는 확산텐서영상으로 전두엽-변연계 연결이 줄수록 자살 생각이 더 늘어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전홍진 교수는 "우울증을 조기에 신속하고 객관적으로 관리할 시스템이 필요하며, 이는 우울증뿐 아니라 자살예방에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