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채열 기자 =경남도는 지난 14일 오후 4시 도청 신관5층 소회의실에서 최만림 미래산업본부장 주재로 '경남도 조선해양산업 위기극복 종합지원대책’에 대한 추진상황 점검 회의를 개최했다.
경남도는 지난 5월 9일 조선해양산업 장기불황에 따른 구조조정으로 위기에 직면한 조선해양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16개 추진대책과 11개 정부건의 과제를 담은‘조선해양산업 종합지원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이날 보고된 추진상황으로 조선업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을 위한 정부 민관합동조사단 현장실사가 15일 거제에서 실시되고, 6월 하순 고용정책심의회 심의를 거쳐 지정여부 및 지원내용이 결정되며 하반기부터 조선소 협력업체 퇴직자 급증에 따라 거제지역에 ‘조선 근로자 일자리 희망센터’가 설치․운영되어 실업급여, 직업훈련, 취업알선을 통합 지원하고, 조선업종 고용안정 프로그램 특별지원을 위한 사업대상 4개시, 군이 선정되어 도비 5억을 지원하게 된다.
기업체 자금 및 세제지원으로‘조선사 협력업체 중소기업육성자금’ 긴급지원은 당초 245억 원에서 기업체의 신청수요 증가에 따라 418억 원으로 증액 지원하며,‘조선업체 지방세 징수유예, 세무조사 연기’에 대해서는 5월 10일 이후부터 도 및 시, 군에서 기업체의 신청에 따라 지방세 기한연장 및 징수유예가 시행되고 있다.
또한, 조선해양기자재업체 지원 강화를 위해 지난 5월 경남도 추경예산을 통해‘해양플랜트기자재 해외 발주처 벤더등록 지원’에 4억 원,‘조선해양산업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기업지원’에 5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하고, 산업경쟁력 강화 지원사업으로,‘해양플랜트산업지원센터 조기 건립’을 위해 도비 10억을 추가 지원하는 등 경남도의 조선해양산업 지원대책이 정상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최만림 경남도 미래산업본부장은 “지난 8일 정부의 추가 조선업 구조조정 계획 발표로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대량실직 발생 등 고용상황이 더욱 악화되고 지역경제의 어려움이 가중 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관내업체의 현장 목소리 수렴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도 및 시, 군 간 네크워크 활성화를 통한 위기극복 소통채널을 유지하며, 조선해양산업 위기와 관련되어 중앙정부의 지원이 강화되고 있으므로 관내 산업체 지원을 위한 신규사업을 적극 발굴하고 분야별 정부 건의사업을 꼼꼼히 챙겨 이번 기회에 도내 조선해양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줄 것”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