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박성준 기자 = "우리는 누구의 편도 아닙니다. 단지 생존을 위해 방송만은 계속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지난 9일 서울 천호동에서 만난 진정호 롯데홈쇼핑 협력사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의 표정은 어두웠다. 미래창조과학부가 롯데홈쇼핑에 내린 프라임타임 6개월 방송정지 처분이 모든 협력사에게는 사형선고와 같았다는 것이다.
진 대표는 "침대 같은 품목은 낮에는 팔리지 않고 가족들이 모이는 밤에만 주문이 이어지는 특수성이 있다"며 "프라임타임의 영업정지는 전체 홈쇼핑 방송 기간 중 일부분이라 하지만 우리에겐 100% 영업정지와 같다"고 강조했다.
특히 영업정지 기간이 임박함에 따라 벌써부터 생산과 제품 발주에 차질이 생기기 시작했다. 침대 등의 제품은 자원과 노동력이 다양하게 투입되는 만큼 하루아침에 만들어질 수 없어서다. 그는 6개월 방송정지 처분이 물건의 순환 주기를 엉망으로 만들고 자금 운용까지 어렵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진 대표는 또 미래부가 제시하는 구제방안들이 단지 일부 공무원들의 책임회피를 위한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남은 유예기간 동안 다른 홈쇼핑에서 상품을 판매하면 된다고 설명하는 것은 전형적인 공무원들의 탁상행정이라고 불만을 드러냈다.
진 대표는 홈쇼핑이 단순히 입점만 하면 모든 것이 해결되는 구조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물론 최근 홈쇼핑 업체들이 많이 투명해졌고 방송 시간에 따른 이익률로 공정하게 인센티브와 페널티를 부여하는 점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하지만 여러 경쟁사가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는 만큼 보이지 않는 방송사와 납품업체간의 이해관계도 엄연히 존재해서다.
그는 방송정지 기간 타 홈쇼핑으로 옮기는 행위로 협력사의 신뢰도에 금이 갈수 있다는 우려도 내비쳤다. 미래부의 주장처럼 타 홈쇼핑에서 성공적으로 방송을 시작했더라도 처분 기간이 6개월 시한부로 얼마나 적극적으로 타 방송사가 협력할지도 미지수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롯데홈쇼핑의 모든 협력사가 타 방송 채널에서 안착해 경쟁력을 갖추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일축했다.
진 대표는 "우리 협력사가 원하는 것은 롯데가 행정소송 여부와 상관없이 방송이 계속되는 것이다"며 "이번 사태와 관련된 대표들이 모두 모여 방송정지가 되지 않는 선에서 가장 합리적인 처벌 방안을 고민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진정호 대표는 "얼마든지 다양한 처벌 방안이 있는데도 미래부가 선량한 납품사까지 엄청난 피해를 볼 수 있는 영업정지를 내린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근시안적인 행정 태도에 모든 협력사들이 울분을 토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