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6/10/20160610091842536188.jpg)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9일 금융통화위원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뒤 통화정책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남궁진웅 기자 timeid@]
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0일 향후 통화정책과 관련해 국내 경기회복에 중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창립 제66주년 기념사를 통해 "앞으로 통화정책은 국내 경기를 회복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완화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의 이 같은 발언은 지난 9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기존 1.50%에서 1.25%로 낮춘 뒤 나온 발언이어서 주목된다.
특히 이 총재는 완화적 통화정책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에 더욱 유의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는 가계부채 추이를 보다 면밀히 점검하고 필요 시 정부, 감독당국과 협의해 거시건전성 차원의 대책 등을 적기에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경제주체들의 위험선호 행태가 확산되고 그로 인해 금융시스템 내에 불균형이 축적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도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국내 경기회복을 위한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구조개혁의 조화에 대해 다시 한 번 강조했다.
그는 "저출산·고령화, 가계부채 누증, 과다한 유휴설비 등 내수 회복을 제약해 온 구조적 요인들도 상존하고 있다"며 "이 같은 상황에서 경제가 활력을 되찾도록 하기 위해서는 통화·재정정책의 완화적 운용과 구조개혁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는 게 긴요하다"고 말했다.
기업구조조정과 관련해서는 다양한 정책수단을 활용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이 총재는 "기업구조조정 추진 과정에서 신용경색 등 금융불안이 발생할 경우 공개시장운영, 대출제도 등 다양한 정책수단을 활용해 적극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자본적정성 악화가 우려되는 국책은행 자본확충은 기본적으로 재정에서 담당해야 하지만 한은도 금융시스템 불안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참여키로 했다"며 "중앙은행의 기본원칙을 잘 지키면서 소기의 역할을 수행토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