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가격 급등…한우농가 연소득 1400만원

2016-06-07 07:33
  • 글자크기 설정

황명철 센터장 "송아지 번식 농가를 지원 등 공급 기반 강화해야"

한우농가, 한미FTA 이후 매일 45호씩 폐업

소고기 수입량과 한우가격 동향[그래픽=김효곤 기자 hyogoncap@]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최근 한우가격이 급등하는 가운데 한우농가의 연간 평균 소득은 14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농협 축산경제리서치센터의 'FTA 시대 한우산업의 구조변화와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한우 가격이 올랐어도 대부분 비싸진 송아지 가격 등 생산비로 지출됐을 뿐, 정작 농가들은 여전히 경영난에 허덕이고 있다.

지난해 한우 1마리당 소득은 비육우(고깃소·주로 수소 거세우) 기준 약 130만원이었다. 우리나라 평균 규모의 농가에서 한 해 11마리 정도 출하하는 점을 고려하면, 연간 소득이 1430만원(한 달 약 119만원) 수준이다.
이마저도 한·미 FTA 직전인 2011년부터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했다가 지난해가 돼서야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쇠고기 시장이 개방된 이후 한우농가가 매일 45가구씩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 사육 가구수는 한·미 FTA가 체결된 2012년 15만4000가구에서 2016년 8만8000가구로, 42%(6만6000가구) 급감했다고 밝혔다. 4년간 한 해 평균 1만6500가구씩 사라진 것인데, 하루에 45가구씩 문을 닫은 셈이다. 

농가들이 줄도산하면서 한우 사육 마릿수도 2012년 이후 매년 15%씩 줄었다. FTA 이전(전년 대비 평균 5.4%)과 비교하면 감소 폭이 훨씬 크다. 

보고서는 최근의 한우 가격 상승은 FTA 이후 농가들이 잇따라 폐업하면서 공급량이 점점 줄어드는 것과 연관이 있다고 지적했다. 2008년의 경우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광우병 논란이 일면서 한우 수요가 급증했고, 한우 농가는 같은 해 18만3000가구로 늘었다. 

공급량이 늘다 보니 자연스레 한우 가격은 떨어지기 시작했고, 수지타산이 맞지 않아 문 닫는 농가들이 하나둘 생기기 시작했다. 

그러다 한·미 FTA의 발효 시점인 2012년을 기점으로 가격 폭락을 우려한 농가들이 사육 마릿수를 대폭 줄이고 정부까지 나서서 암소 감축 사업을 시행하면서 다시 공급량이 빠른 속도로 줄어든 것이다.

여기에 살아남은 농가들이 수입 쇠고기와의 차별화를 위해 한우 품질의 고급화 전략을 펼친 것 역시 가격 인상에 불을 지폈다는 분석이다. 실제 한우는 품질에 따라 5단계(1++·1+·1·2·3)로 나뉘는데, 1등급 이상 출현율이 2012년 58.1%에서 올해 4월 기준 66.6%까지 늘어난 반면 최하위인 3등급은 14.1%에서 8.2%로 하락했다.

황명철 농협 축산경제리서치센터장은 "한우가 공급은 줄고 가격이 올랐다는 얘기는 바꿔 말해 '대중 고기'로서의 한우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는 뜻"이라며 "한우농가들이 생산비 부담을 느끼지 않고 안정적인 경영을 할 수 있도록 송아지 번식 농가를 지원해주는 등 공급 기반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