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미국의 6월 금리인상론이 급격하게 흔들리고 있다. 3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 5월 고용동향이 예상치를 크게 밑돌았기 때문이다. 그동안 미국의 탄탄한 고용지표는 금리인상의 가장 강력한 근거가 돼 왔다.
이날 주요 고용지표인 월간 비농업부문 신규고용 증가량이 3만8000개로 전문가들이 제시한 최저치보다도 낮게 발표됐다.
지난 4월 비농업부문 신규고용 증가량이 예상에 못 미치는 16만 개로 발표될 때만 해도 고용시장에 대한 낙관론이 유지됐지만, 이날 발표된 고용동향은 그런 낙관론의 기반을 크게 흔든 셈이 됐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이 고용시장의 지연요인(slack)으로 지목했던 '정규직을 희망하지만, 시간제 일자리에서 일하는 사람 수' 역시 지난달에 약 640만 명으로 지난 4월의 약 600만 명보다 늘어난 점, 노동시장 참여율이 62.6%로 낮아진 점도 고용 호조 지속에 대한 회의론을 키우는 요인이다
옐런 의장은 지난달 27일 하버드대 간담회에서 미국 경제가 "계속 개선되고 있다"며 "그런(경제 개선) 상황이 계속되고 고용시장의 호조가 이어진다면 앞으로 수개월 안에 그런 움직임(기준금리 인상)이 적절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런데 고용시장의 호조라는 단서가 타격을 받은 것이다.
연준 고위 관계자들 사이에서도 다시 신중론이 나왔다. 라엘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는 이날 워싱턴DC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경제) 상황이 (금리인상 필요에 대한) 더 강한 확신을 줄 때까지 기다리는 편이 여전히 이익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날 고용동향에 대해 "잠정적으로 고용시장 개선 둔화의 신호"라고 평가한 브레이너드 이사는 "국내 (경제)활동이 되살아났는지에 대해 확신을 하려면 다른 자료(경제지표)들이 나오기를 기다려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그룹이 미국 국채선물 가격 동향을 바탕으로 산출하는 6월 기준금리 인상 확률은 최근 한때 34%까지 높아졌지만, 지난달 고용동향이 발표된 직후 5.6%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