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수급업무는 국책은행인 한국은행이 전국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화폐를 발행하고 환수하는 업무로, 지난 2012년 2월 한국은행의 조직 및 인력 개편으로 인해 전북본부 등 전국 16개 지역본부가 담당하고 있던 업무가 5대 광역본부로 통·폐합됐다.
시는 지난 27일 전주시 소재 금융기관 및 지점 대표들과의 조찬간담회를 시작으로 향후 지역 산업계와 정치권 등과 한국은행 전북본부의 화폐수급업무 재개를 위한 공동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이날 조찬간담회에서 김승수 전주시장과 이정영 전북은행 부행장, 정형모 농협중앙회 전주·완주군지부장, 강종천 전주우체국장 등 전주시 소재 11개 금융기관 및 지점 대표들은 전북지역 화폐수급업무 재개 필요성에 대해 한 목소리를 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5/30/20160530022738332385.jpg)
▲김승수 전주시장을 비롯 전주시 소재 금융기관 및 지점 대표들이 조찬 간담회를 열고 한국은행 전북본부의 화폐수급업무 재개를 위한 공동 대응방안을 강구했다[사진제공=전주시]
현재 도내 금융기관들은 화폐수급 거래를 위해 약 80㎞~100㎞ 정도 떨어진 광주전남본부와 대전충남본부를 이용해야 하는 관계로 원거리 화폐수송에 따른 비용발생과 위험 부담 등을 안고 있다. 또 화폐 매입과 신권서비스 제공 등 고객서비스 차원에서도 불편을 겪고 있다.
특히 전북과 광주·전남을 관할하는 각종 공공기관과 기업본사, 행정기관 등 90% 이상이 광주에 편중된 데다, 화폐수급업무마저 광주전남본부가 통합되면서 전주시민들의 상실감이 크다.
또한 전주는 지난해 5월 국민연금공단의 전북혁신도시 이전과 오는 2017년 2월로 예정된 기금운용본부의 이전을 계기로 전주시민들은 물론 전북도민들을 먹여 살릴 금융산업 특화도시로의 도약을 앞두고 있어 한국은행 전북본부의 화폐수급업무 재개가 절실하다.
뿐만 아니라, 전주는 국내 3대 지방은행이자 인천과 경기, 충청, 호남을 통틀어 서부권역 유일의 지방금융지주사인 전북은행 등 다양한 금융기관이 위치해있지만 원활한 화폐수급이 어려워 지역 내 자금 과부족 해소 등 금융기관으로서의 역량 발휘하는 데는 제약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감안 금융감독원도 전북지역 금융사무가 꾸준히 급증하고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의 전주이전과 전북은행 등 주요 금융기관의 검사감독권한 강화를 위해 지난 2월 전주사무소를 전주지원으로 승격시켰다.
앞서 한국은행은 전북본부와 함께 지난 2012년 조직 및 인력 개편 당시 화폐수급업무가 중단된 지역 중 인천본부와 강원본부의 화폐수급업무를 최근 재개키로 하면서 전주시민들의 불만을 낳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