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5/16/20160516105253615628.jpg)
최근 통계청 자료를 보면 2015년 기준, 우리나라 3년차 창업기업의 생존율은 38.2%에 불과했다. 이는 창업기업에 대한 정부지원 결과 창업 기업수는 늘고 있으나 이들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같은 결과는 지원기관별로 정부차원의 심층적 검토의 필요성을 불러왔다.
이에 중소기업청과 창업진흥원은 창업기업 ‘죽음의 계곡’ 극복 프로젝트를 통한 ‘창업도약 패키지 지원사업’을 본격화한다고 16일 밝혔다. 지원규모 2배(50억→100억원)로 확대하고 도약이 필요한 160개 기업을 발굴·지원한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창업도약 패키지 지원사업은 중기청이 지난해 처음으로 창업기업의 죽음의 계곡 극복을 위해 창업맞춤형사업의 세부 프로그램으로 시범운영해 정부지원의 사각지대에 있는 창업 3~7년차 창업기업 100개사를 지원했다. 2015년말 기준, 매출 1197억원, 일자리 944명, 수출 198억원, 투자유치 48억원 등 가시적 성과도 창출했다.
올해부터는 지난달 19일 정부 창업기업 육성정책 혁신전략에 따라 창업기업의 비즈니스모델(BM) 중심의 성장과 도약을 위해 집중 지원한다.
특히 창업기업은 창업맞춤형사업의 32개 주관기관(대학, 연구기관, 투자기관 등)의 특화분야별 프로그램 중에서 창업기업의 사업아이템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직접 선택해 신청할 수 있다.
앞서 중기청과 창업진흥원은 창업기업 생존기반 확보를 위해, 우수한 사업 아이템을 보유한 3년 미만 창업기업을 지원하는 창업맞춤형사업의 본격적인 추진을 밝힌바 있다.
사업은 2012년에 출범한 이래 시제품개발 지원 및 자금 등을 지원해왔다. 지난해부턴 한국의 창업기업 생존율 제고를 위해 사업화 성공가능성이 높은 3년 미만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멘토링과 주관기관 특화프로그램으로 개편해 지원해 오고 있다.
이를 통해 창업기업의 생존과 매출, 투자유치 등과 직접 연계가 될 수 있도록 사업모델 진단과 문제해결을 위한 시장전문가 중심의 멘토링 지원으로 현장에 밀착되고, 성과창출을 지향하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창업진흥원과 주관기관을 통해 성공 가능성이 높은 창업기업에게는 매출증대와 글로벌 진출을 위한 후속지원 프로그램(기업공개 및 상장지원, 글로벌 진출 지원 등)이 지원될 예정이다.
창업맞춤형사업화 지원사업의 주관‧협력기관의 청렴한 사회조성 및 엄정한 근무 기강확립을 위한 투명하고 공정한 직무 수행 방침도 이뤄진다.
창업진흥원은 이달 11일 2016년 창업맞춤형사업화 지원사업 ‘주관·협력기관 전담인력 워크숍’에서 전국 32개 주관기관 전담인력 120여명을 대상으로 2016년 반부패 청렴결의 선포식을 실시했다.
청렴 결의문에는 ‘청렴한 사회조성 및 엄정한 근무 기강확립을 위해 투명하고 공정한 직무를 수행하겠다’, ‘직무와 관련한 금품수수, 향응, 알선, 청탁, 비밀누설 등 일체의 부패행위와 품위를 손상하는 행위를 단호히 배격하겠다’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강시우 창업진흥원장은 "공직자 뿐만 아니라 인간이 가져야할 덕목 중 1순위가 바로 청렴"이라며 "공정한 업무수행이 불필요한 민원을 줄이고, 기업도 윤리의식을 갖고 일을 할 수 있어, 함께 청렴한 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해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