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욱 고려대 교수는 오는 16일 서울 밝은사회회관에서 열릴 통일한국포럼 제3차 회의에 앞서 13일 배포한 '북한의 7차 당 대회 분석: 정치 군사 분야'라는 제목의 발제문에서 당 대회를 '소모성 정치 이벤트'로 평가하며 이같이 주장했다.
남 교수는 발제문에서 "3대 세습의 '셀프 대관식'을 위하여 6개월 전부터 최소 2억 달러 이상의 예산을 사용하며 엄청난 재정 지출 등 주민들의 부담이 가중됐다"고 지적했다. 남 교수는 발제문에서 구체적인 근거는 밝히지 않았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5/13/20160513133053990938.jpg)
[사진=연합뉴스]
그는 이어 북한이 당 대회를 앞두고 '70일 전투'를 전개하는 등 1960년대식의 속도전을 독려했다면서 "앞으로는 국가경제발전 5개년 전략 추진 차원에서 새로운 속도전 등 대중동원을 통한 쥐어짜기 경제압박 전략이 시행됨에 따라 인민들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양문수 북한대학원 교수는 경세 사회 분야 발제문에서 "당 대회에서 '우리식 경제관리방법'과 '사회주의 기업책임 관리제'에 대한 최고의 공식성을 부여했고 이는 북한이 현재의 시장친화적 정책을 당분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는 정책적 의지의 표현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조봉현 IBK경제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토론문에서 "결국 북한경제를 후퇴시키고, 주민들의 반발만 키워 사회경제적으로 혼란을 야기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