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공공기관 신규채용 1만9000명…전년 대비 8%↑

2016-04-29 12:57
  • 글자크기 설정

절반 이상이 지역인재…부채비율 18%포인트 감소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지난해 공공기관 신규채용이 8%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 사원 가운데 절반 이상은 지역인재였다.

기획재정부는 공공기관경영정보 공개시스템인 '알리오 시스템'(www.alio.go.kr)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5년 공공기관 경영정보를 29일 공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공공기관 임직원은 모두 28만7000명으로 전년보다 2.9% 증가했다.

에너지·사회간접자본(SOC) 공공기관에서 2만3000명으로 가장 많이 늘었고 보건의료 2만2000명, 연구개발(R&D)·교육에서 800명, 금융에서 800명 늘었다.

신규채용은 1만8993명으로 전년(1만7601명)보다 7.9% 증가했다.

신규채용 규모는 2013년 4.7%, 2014년 1.2%에서 증가 폭이 확대됐다.

기재부는 일정기간 인턴을 하면 그중 70% 이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채용형 인턴으로 2014년 하반기 1947명이 채용됐고 채용형 인턴 중 대부분이 지난해에 정규직으로 채용돼 신규 채용 규모가 늘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지방으로 이전한 공공기관이 늘면서 지역인재는 처음으로 1만명이 넘는 1만129명이 채용됐다.

전체 신규채용 인원 중 지역인재 비율은 2011년 48.5%에서 꾸준히 증가해 작년에는 53.3%로 확대됐다.

비정규직을 무기계약직과 같은 정규직으로 전환한 데 따라 비정규직 인원은 3만1000명으로 전년보다 4.3% 줄었다.

공공기관 부채는 505조3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4조4000억원 감소했다.

공공기관 부채비율은 전년보다 18%포인트 하락한 183%를 기록했다. 부채비율은 2010년 165% 이후 5년 만에 가장 낮았다.

공공기관의 복리후생비는 7850억원으로 전년보다 5.0% 증가했다.

기재부는 이에 대해 2014년 공공기관 복리후생비가 급감한 데 따른 기저효과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2013년 12월 정부가 '공공기관 방만경영 정상화대책'을 추진하며 공공기관의 복리후생비는 2013년 9427억원에서 2014년 20.7% 감소한 7479억원까지 내려간 바 있다.

공공기관의 전체인원이 늘어나며 복리후생비 지출이 증가한 영향도 있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기재부는 공공기관의 경영 투명성을 높이고자 공공기관 경영정보를 정책 수립에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3분기(7∼9월)에는 알리오시스템 공시항목에 공공기관 내부규정, 징계운영현황, 소송현황 등을 추가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