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박한철 덕성여고 교사, 노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원장, 전성민 전성민법률사무소 변호사, 이병선 다음카카오 이사, 김만식 KT 상무, 서병조 한국정보화진흥원 원장, 최성준 방통위 위원장, 조규조 EBS 부사장, 김문수 SK 커뮤니케이션즈 이사, 정경오 법무법인 한중 변호사, 장윤옥 머니투데이 논설위원, 김명주 한국인터넷윤리학회 회장, 임형도 SKT 실장]
아주경제 박정수 기자 = 최성준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 위원장이 "음란·도박·사이버폭력 등과 같이 최근 급증하고 있는 포털 및 인터넷 방송에서의 불법유해정보 퇴치를 위해 정부와 민간이 함께 힘을 합치고 인터넷 업계의 자율규제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방통위는 27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인터넷문화 정책자문위원회'를 개최, 방통위 주요사업 설명과 최근 불거지고 있는 인터넷상 불법유해정보에 대한 민·관 협력방안 등이 논의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인터넷 역기능 대응 민관 협력방안'이라는 주제로 경인교육대 임상수 교수의 발제가 있었고, 자문위원들의 다양한 의견 제시가 있었다.
최 위원장은 “최근 급증하는 불법·유해정보로부터 청소년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민간, 특히 인터넷업계의 자율규제 준수가 가장 바람직하나 잘 지켜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며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공동으로 대응해 나가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게 추진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방통위는 이날 제기된 다양한 의견을 인터넷윤리 관련 정책 마련 시 적극적으로 반영해 나갈 계획이다. 인터넷문화 정책자문위원회는 건전한 인터넷 이용문화를 구성하자는 취지로 학계·법조계·언론계·민간단체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회의체다.